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교육 현장 착근을 위한 교육본위론적 전제

이용수 109

영문명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Prerequisites for Stabl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민환(Kim, Min Hwan) 권동택(Kwon, Dongta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661~67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스마트교육에 대해 이론뿐만 아니라 학교현장의 실제 부분에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 학교현장에 안정적으로 이행되지 못하는 이유로 스마트교육이 교육본위론적 기본 전제들에 부합되지 못한다는 비판들이 있다. 왜냐하면 학교교육의 본질은 일반 공학적 접근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 하에,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적 논의와 함께 현장 착근을 위한 기본 전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의 본래적 관점에서 스마트교육은 교육 패러다임 하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 유사하다. 장기적인 패러다임으로서 스마트교육을 위해서는 기술 공학적 기기의 개선보다는 보다 철학적 논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그렇게 될 때 스마트교육에 대한 오해와 편견은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교육의 가치는 스마트기기가 아닌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초점을 둔 교육본위적 논의를 통해 정당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마트교육에 대한 재논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자와 스마트 기기의 상호작용으로서가 아닌 교사와 학습자와의 진정한 상호작용으로서의 접근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a lot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smart education, not only with theory but also practice of a field of schooling, ultimately to fulfill the educational paradigm change. However, The reason why smart education is not yet stable in school is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y have failed to consider an educational prerequisites. Because the nature of schooling is quite different with that of engineering. With this perspective in mind, this study aims at re-conceptualizing smart education and suggesting educational prerequisites. In result, there are main educational prerequisites for stabl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intrinsic value, smart education is similar to the viewpoint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with educational paradigm. As a long-standing paradigm, smart education has to focus on discussing educational philosophy rather than on improving technical device. In this perspective, misunderstand and bias on the smart education is reduced. Thus the value of smart education has educational justification by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al paradigm shift, not smart device. And the value of smart education is re-conceptualized as a means to provide the philosophy to realize the educational paradigm, and conceived as an ongoing teacher-learner interactive practice, not as learner-device interactive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스마트교육의 개념적 논의
Ⅲ. 스마트교육의 성격 논의
Ⅳ. 스마트교육의 현장 정착을 위한 기본 전제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환(Kim, Min Hwan),권동택(Kwon, Dongtaik). (2013).스마트교육 현장 착근을 위한 교육본위론적 전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5), 661-676

MLA

김민환(Kim, Min Hwan),권동택(Kwon, Dongtaik). "스마트교육 현장 착근을 위한 교육본위론적 전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2013): 661-6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