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탐구’에 대한 의미 형성과정과 유형 탐색

이용수 202

영문명
The Exploration of Meaning Forming Process and Type on Inquiry in Social Studies : Focused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미화(Hong, MiHw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587~61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탐구이론과 지도안작성, 수업실습에서 나타나는 탐구의 의미와 그 변화를 탐색하여 탐구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이론에 근거하여 형성한 탐구의 의미는 ‘탐구의 발현’을 강조하는 유형, ‘탐구의 과정’을 강조하는 유형, 그리고 ‘탐구의 결과’를 강조하는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업안을 설계함으로써 관계추구형, 지식추구형, 공감추구형, 동인추구형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탐구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수업실습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고 전략적 차원에서 탐구를 이해하며 관계지향형, 공감지향형, 지식확장형, 흥미지속형과 더불어, 기능추구형, 사회참여형 등 이전 보다 다양한 탐구의 의미를 확장시켜 나간다. 즉 예비교사들은 수업을 설 계하고 시연하는 경험을 통하여 탐구의 의미를 숙고하며 그들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간다. 예비교사의 탐구는 수업실행 전의 ‘이론 중심적이고 추상적인 탐구’에서 수업실행 후에는 수업 주체와 상황을 고려한 ‘실제적이고 구체화된 탐구’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교사교육기관은 사회과 탐구학습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은 물론 수업의 실제에서 발생하는 탐구학습의 한계를 인지하고 새로운 수업모델을 제시하려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인지하는 탐구의 의미와 가능성을 격려하며 그들이 형성한 실천적 지식을 인정하고 보완해 줄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quiry and inquiry instruction change and develop by examining inquiry and inquiry instruction as they understand based on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The current study explored and categorized the meanings of inquiry shown in pre-service teachers inquiry theory, guidance plan preparation, and experience in teaching practic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s of inquiry pre-service teachers built up based on theory were identified as three types including a type of stressing ‘expression of inquiry’, a type of stressing ‘process of inquiry’, and a type of stressing ‘results obtained from inquiry’. Second, pre-service teachers expand the meanings of inquiry into four types including a type of pursuing relationships, a type of pursuing knowledge, a type of pursuing empathy, and a type of pursuing motivation by designing inquiry class plans. This means that the meanings of inquiry become sophisticated according to the teaching context a teacher need to consi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 and instruction. Thir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inquiry on more detailed and strategic level than before performing instruction through teaching practice. At this time, a function pursuing type and a social participation type were added to inquiry types along with a relationship-oriented type, an empathy-oriented type, a knowledge-expanding type, and an interest-lasting type. It is practical knowledge pre-service teachers produced through a reflective process of fully considering the practice of teaching. Through this study, inquiry of pre-service teachers changed from ‘theory-centered abstract inquiry’ before teaching practice into ‘practical and concrete inquiry’ to consider main agents of teaching and teaching situations after teaching practice. Preliminary teachers do understand inquiry class not by clarifying the attributes of inquiry, but by constantly generating the new meanings of inquiry suitable for actual teaching situations. Therefore,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need to develop practice-centered teaching models in addition to trying to encourage and acknowledge the meanings of inquiry generated diversely in teaching practice as well as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existing inquiry learning models.

목차

Ⅰ. 들어가기
Ⅱ. 탐구와 사회과 탐구학습에 대한 이해
Ⅲ. 연구의 대상과 방법
Ⅳ. 예비교사의 사회과탐구에 대한 의미 변화 과정
Ⅴ. 사회과탐구, 그 새로운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미화(Hong, MiHwa). (2013).‘사회과탐구’에 대한 의미 형성과정과 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5), 587-611

MLA

홍미화(Hong, MiHwa). "‘사회과탐구’에 대한 의미 형성과정과 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2013): 587-6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