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송동화집 『왕소년과 도적』 연구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Radio Fairy Tales [A King Boy and a Thief]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최미진(Choi, Mi-ji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1집, 479~51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발굴자료인 방송동화집 『왕소년과 도적』을 중심으로 당시 서울중앙방송국 ≪어린이시간≫의 어린이문학이 놓인 자리를 가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왕소년과 도적』은 1954년 장왕사에서 출간되었는데,라디오방송의 일회성을 앞세운 계몽주의적 기획의 혐의가 짙었다. 방송시기조차 정확하지 않지만, 종전을 전후한 시기 창작 등의 과정을 거쳐 방송된 작품들을 수록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우선, 이 작품집은 ‘방송동화집’이라는 부제와 다른 체제를 보여주었다. 이전의 선집체제에 따라 동화, 소설, 동극으로 나눈 것으로 여겨지나, 방송동화를 앞세운 뚜렷한 이유는 불분명하였다. 최대 난제는 작가를 밝히지 않은 점이었으며, 그것은 당시 작가부족에 허덕이던 방송 현실에 더해 실명을 밝히지 않았던 관행이 초래한 결과라 하겠다. 다음으로, 『왕소년과 도적』은 형식면에서 라디오매체의 특성을 살려 내는 높낮이가 매우 달랐고, 그만큼 ≪어린이시간≫의 내실을 다지는 데 힘겨웠음을 반증하였다. 내용면에서는 환상성을 앞세운 동화에 비해 소설과 동극이 사실성과 결합하여 교훈성을 강하게 드러내었다. 특히 동극은 당대가 요구하는 어린이상을 통해 국가주의의 면면을 드러내었다. 작품집만 두고 본다면 ≪어린이시간≫ 또한 이데올로기 국가기구인 라디오방송의 한 부분으로 프로파간다 역할에 치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position of Children's literature of «Children's Time» of Seoul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focusing on excavation material, [A King Boy and a Thief]. [A King Boy and a Thief]was published in 1954 by Jangwang Publisher where remained intact in the risk of war. Considering the timing of publication and the character of publisher, led by one-off of the radio broadcasting of enlightenment project was significantly let suspicion. First, as looking at the systemic aspect, this anthology was carried children's literature of prose of radio broadcasting, unlike the subtitle of ‘broadcasting fairy tale collections’. Nevertheless Broadcast time was also not accurate, it could be seen the ‘historical’ works broadcasted over the course of creativ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war.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selectional system, it considered to be divided into fairy tales, children's fictions, children's dramas, but it was unclear to put forward fairy tales. The biggest challenge was not revealed the author, because of the practices that broadcasts did not reveal the real name due to the lack of the writer and the tough reality of the broadcasting. It was only two or three pieces which estimate the writers except for the adaptation among contained works, six pieces of fairy tales, three pieces of fictions, four pieces of children's dramas. Then, in the contextual aspect, [A King Boy and a Thief ]showed the strong lesson combined with contemporary achievements of children's fictions and children's dramas than fairy tale which headed by the fantasy and the amusement. Particularly Children's drama carried the instructive story which imagine and practice the nation. It could glimpse the effort to put the emotional strategies of persuasion which obvious works of creation of broadcasting. However, to rev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media is very different, So that disprove the hardness of the ensurance internal stability of «Children's Time». With only look at anthology «Children's Time» is also focused on the role of propaganda as part of the ideological national institution of radio broadcasting.

목차

1. 망실의 자리, 라디오방송 어린이문학
2. 『왕소년과 도적』의 출간과 체제
3. 라디오매체 활용의 불균형과 전후현실의 강화
4. 전후 방송과 어린이문학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진(Choi, Mi-jin). (2015).방송동화집 『왕소년과 도적』 연구. 한국문학논총, 71 , 479-518

MLA

최미진(Choi, Mi-jin). "방송동화집 『왕소년과 도적』 연구." 한국문학논총, 71.(2015): 479-5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