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윤동주의 시 「간(肝)」에 나타난 ‘시적주체’의 지평

이용수 364

영문명
A horizon of poetic subject appearing in Yun Dong-Ju’s poem 「Liver」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박군석(Park, Gun-seo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1집, 161~20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인은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의 모순을 인식하면서 시적 발화를 통해 새로운 삶을 지향하는 시적 주체를 내세운다. 텍스트의 발화를 이끌어가는 시적 주체는 자신이 서 있는 지평을 펼쳐 보임으로써 자기 존재를 드러낸다. 시 「간(肝)」은 내재적 구조를 이해의 근본 토대로 삼으면서도 전체적인 시작품이 전개되는 과정과 시작품이 생성되는 문화적 맥락 사이에서 읽혀질 때 시적 주체의 지평이 새롭게 재현될 수 있다. 윤동주의 시작품이 전개되는 과정은 연희전문학교 입학 이전과 입학이후, 일본 유학시절 등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학생 신분으로 일생을 보냈는데 자기 세계와 현실 인식 사이에서 새로운 시적 세계를 구축해 나간다. 기독교와 유년 시절의 체험에서 형성된 자기 세계는 윤동주의 시적 추구를 이끌어가는 근간이 되었다. 연희전문학교 시절, 그는 타자와 자신의 모순에서 형성되는 자기 분열의 현상을 의식 지평에서 낱낱이 펼쳐 봄으로써 확고한 삶의 지향을 결의한다. 일본 유학은 그 자체가 확고해진 자기 신념의 실천이었다. 시 「간」도 이러한 시적 전개 과정 속에서 형성된 시적 발화임을 알 수 있다. 시 「간」의 시적 주체 “나”는 “거북이”, “독수리”, “프로메테우스”를 직접 호명하며 2인칭의 대화 상대로 삼고 있으며, 비유의 대상으로 언급되는 토끼“처럼” 간을 잃을 위기에서 벗어난 자이다. 시적 주체가 호명하는 대화 상대는 실제 시인의 실존적 상황에서 접하는 타자를 상징하고 있다. 당대에 널리 유행한 활자본 「토끼전」을 살펴 볼 때, “거북이”는 당대의 권력 구조 내에서 자기 정체성의 근거를 확보한 자이다. 프로메테우스의 상징성은 서구 사회에서 알려진 그리스 희곡의 원전과, 당대에 쓰여진 채만식의 희곡 「제향(祭饗)날」과 김오성의 논문 「時代와 知性의 葛藤-프로메듀스的事態」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의 6연은 「프로메테우스」신화와 신약성서 「마태복음」18절이 결합되어 있다. 시적 주체“나”는 불완전한 지식을 전수하는 프로메테우스의 행위가 “어린 아이”를 “실족케 하는 일”이라고 본 것이다. 3연에 나타난 “내가 오래 기르던여읜 독수리”는 시인의 내면에 주어진 혜안(慧眼)으로서 “나”의 고통 속에서 성장하여 하늘 높이 힘차게 비상하여 더 넓은 시적 지평으로 자기 의식을 이끌어 간다. 시인은 당시 지식인들이 “소자(小子)”의 소박한 삶들을 도외시하고 계몽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인식 세계에 동조하도록 그들에게 독려하는 행위를 비판한다. 시인이 추구해온 ‘어린 마음’(동심)은 인간이 소중히 간직해야하는 선험적 지평이라 할 수 있다. 시 「간」의 시적 주체는 프로메테우스를 단죄하는 목소리를 통해 당대 지식인의 모순된 현실을 펼쳐 보인다. 동시에 그 목소리가 발현하는 시적 지평의 경계에서 다가오는 엄연한 역사의 주체, 공적 담론에서 소외되어 온 “소자(小子)”의 존재를 드러낸다. 이 “소자”는 인간이 회복해야하는 주체의 본래 모습이며 자기정립의 근원적 지평에 서 있다. 윤동주는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입지의 가능성을 모두 희생해가면서 시적 사유를 통해 한국인이 근대적 주체를 정립할 수 있는 의식 지평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영문 초록

A horizon of poetic subject in the poem 「Liver」can be recreated by the reading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also unfolding between a cultural context and the stream of Yun Dong-Ju’s poetry. The poetic subject “I” in the poem 「Liver」say to “the turtle”, “the eagle” and “the prometheus”, regarding them to second-person in the conversation. “I” am a man who escaped from the crisis of losing liver “like rabbit“ in the classical novel. The my calling guys in the poem 「Liver」are a symbol of others that the poet was a tangent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novel 「rabbit」widely read that time, “the turtle” was a man who waked up the self-identity within the power structur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Prometheus can be known from Greece plays written in the ancient times widely read in Western society, Chae Man-shik’s play of 「The Memorial Day」, and Kim Oh-sung’s thesis 「The conflict between The age and The intelligence」a series over the sixth inning in the Chosun Ilbo. In the 6 stanza in this poem, Section 18 in 「St. Matthew’s Gospel」and the myth 「Prometheus」are combined in the flowing of context. In the 3 stanza in this poem, “the Eagle” is symbol of poet’s inner wisdom. The period division in the deployment process of Yun Dong-Ju’s poetry are greatly divided before admissions of entrance in the Yeon-Hee University, after entrance, and the time of studying in Japanese University. the self-world formed in Christianity and childhood experience perpetuates poetic pursuit. The poet opens his eyes in a invisibility that is Transparent appearing and disappeared in the visibility. The poem 「Liver」is a speech-act formed in the deployment process of Yun Dong-Ju’s poetry. At that time, intellectuals forced the people of the rustic life to receive their perceived world in the name of enlightenment.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at he pursued during his lifetime, is a priori horizons that humans must keep it as a treasure. The poetic subject in the he poem 「Liver」seems to unfold visibility in the poetic horizons through the voice that condemn Prometheus. At same time, a invisibility in the poetic horizon that the voice sounds, manifests defending the people that was alienated from public discourse.

목차

1. 머리말
2. 시 「간(肝)」의 내재적 구조
3. 시 전체의 흐름과 시 「간(肝)」의자리
4. 시 「간(肝)」의 ‘시적 주체’와 문화적맥락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군석(Park, Gun-seok). (2015).윤동주의 시 「간(肝)」에 나타난 ‘시적주체’의 지평. 한국문학논총, 71 , 161-204

MLA

박군석(Park, Gun-seok). "윤동주의 시 「간(肝)」에 나타난 ‘시적주체’의 지평." 한국문학논총, 71.(2015): 161-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