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적 감동’에 관한 불교심리학적 고찰

이용수 129

영문명
Consideration on Buddhist Psychology about ‘Poetic Impression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정효구(Jeong, Hyo-goo)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1집, 127~1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시적 감동’의 문제를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씌어진 글이다. 지금까지 시적 감동은 시학계의 수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빈번하게 사용된 말이지만 실제로 이에 대한 심층적이며 학구적인 탐구는 부재하였다. 따라서 시적 감동은 하나의 명확한 시론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거니와, 이에 대한 불교심리학적 접근은 그 필요성을 상당 부분 충족시켜 준다. 우리는 좋은 시의 요건으로 여러 가지 사항을 들 수 있으나 시적 감동은 그 중에서도 단연 앞자리에 놓일 뿐만 아니라 시를 인간사의 高處에 존재하게 하는 중요한 원천이다. 시적 감동은 인간들의 심층에 묻혀 있거나 그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淸淨心, 一心, 道心, 公心, 慈悲心, 靈性, 永遠性등과 같은 말로 부를 수 있는 ‘신성한 실재’를 만나고 일깨우는 일이다.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인간들의 심리는 매우 복잡한 것 같으나 그 근본 원리는 생각과 다르게 단순하다. 이른바 主客이 분리된 ‘두마음’을 쓰느냐, 아니면 주객을 넘어선 ‘한 마음’을 쓰느냐 하는 것이 모든 심리 작용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내가 있다’는 유아의식에서 비롯된 세속적 심리는 주객이 분리된 ‘두 마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에 비해 무아의식 및 대아의식에서 이루어지는 자아초월적 심리는 주객이 하나가 된 ‘한 마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말할 것도 없이 시적 감동은 후자에 의하여 탄생된다. 시에서 이와 같은 ‘用心’의 문제는 그 시의 시적 감동은 물론 시의 관점과 상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시를 언어의 문제로 보기 쉽지만 실제로 언어 이전에 혹은 언어 속에 존재하는 ‘用心’의 문제는 언어 문제 이상으로 중요한 시의 본질적 측면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근대시는 근대가 기저로 삼고 있는 개인중심주의와인간중심주의에 기반해 있기 때문에 자칫 이 ‘用心’의 문제를 소홀히 하기 쉽다. 따라서 個我의 개성과 인간의 자부심을 전면에 놓고 있는 근대인의 삶과 근대시에서 ‘用心’의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개아의 개성과인간의 자부심 너머에 존재하는 차원을 열어가며 그 마음을 쓰는 일은 특별히 비중 있게 기억되고 탐구되어야 한다. 이 글에선 시적 감동의 문제가 불교심리학의 세 차원 가운데 최고의 차원인 지혜 위의 자비, 大我의식, 일심, 圓成實性등의 문제와 맞닿아있다고 생각하여 대승불교의 핵심 수행법인 6바라밀을 기준으로 삼고 그 감동의 실제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적 감동의 문제는 단순한 시의 문제만으로 끝나지 않으며한 존재의 세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실천의 문제와 연관돼 있음을 재확인하였고, 이는 근대시를 말할 때 중시되는 천재성이나 기예의 훈습등의 문제를 넘어선, 보다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세계 이해의 차원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우리의 근현대시는 개인과 자유와 개성에 토대를 두고 있는 근대정신을 충실하게 반영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예술 본래의 원형적이면서도 심층적인 마음인, 이른바 慈悲心, 大我心, 公心, 一心, 永遠性등을 활용함으로써 시공을 넘어선 시적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상당히 성공하였다. 그러나 지금, 21세기의 우리 시는 지나친 개아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에 편향됨으로써 시적 감동을 창출하는 일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다는 염려를 자아낸다. 적절한 명칭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미 래파’라는 호칭과 관련된 21세기 젊은 시인들의 시적 특성을 두고 논쟁까지 치른 우리 시단의 새로운 흐름은 ‘시적 감동’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깊은 성찰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 와 있다. 이 글이 그런과제 해결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ter of ‘poetic impression’ in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sychology. The phrase of poetic impression has been used frequently by a lot of people in the circles of poetics, but in fact, in-depth and academic exploration has hardly been made on it.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poetic impression as a kind of definite theory of poetry, and the approaches of Buddhist psychology to it satisfy the necessity considerably. There are several conditions to make a good poem. Among them, poetic impression is definitely in the frontline, and it is a crucial source that allows poems to exist on the high place of human society. Poetic impression is to let humans encounter and realize ‘divine reality’ that can be referred to as terms like pure mind, holistic mind, tao mind, mindlessness, mercy, spirituality, or eternity buried deep in humans or operating within them.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sychology, humans’ mentality seems very complex, but the basic principle of it is simple differently from how we expect. It is because whether the so-called host and guest use separated ‘two minds’ or employ ‘one mind’ transcending the host and guest is the core of how any mentality works. Generally, secular mentality originating from consciousness of selfness, ‘I exist’, is to use ‘two minds’ in which the host and guest are divided. On the contrary, self-transcendental mentality realized in consciousness of selflessness and mindlessness is to use ‘one mind’ in which the host and guest become the one. Undoubtedly, poetic impression is born from the latter. In poetry, such matter of ‘using mind' i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poetic impression of a poem and also the viewpoint and imagination of it. Generally, poetry can be easily seen as the matter of language, but in fact, before language, the matter of ‘using mind’ present in language is the essential aspect of poetry more important than language itself. Since modern poetry is familiar to us and grounded on egocentrism and anthropocentricism that modernity takes as its base, this matter of ‘using mind’ might be easily taken for granted. Therefore, the lives of modern people setting the character of individual ego and human pride forth as well as the deeds of using mind understanding the matter of ‘using mind’ in modern poetry properly and opening the dimension existing beyond the character of individual ego and human pride are to be remembered and explored particularly importantly. This author deems tha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Buddhist psychology, the matter of poetic impression meets the matters of mercy above wisdom, mindlessness, holistic mind or absolute nature, the supreme dimension, and examines the substance of the impression with six categories having 6 paramita, the nuclear training of Mahayana Buddhism, as the criteria. As a result, this author has reconfirmed that the matter of poetic impression does not simply end as the matter of poetry and is associated with profound understanding of one existing world and the matter of practice. This means that when it comes to modern poetry, it is related to the dimension of understanding a more essential and ultimate world, not just the matter of genius or acquisition of technique emphasized. Our modern and contemporary poetry so far has been reflecting modern mind grounded on individuals as well as freedom and individuality faithfully and also using the archetypal and deep mind of art itself, so-called mercy, holistic mind, mindlessness, transpersonal psychology, or eternity. In this way, it has significantly succeeded in arousing poetic impression beyond time and space. However, now there is a concern that our poetry of this 21st century is leaning excessively on egocentrism or anthropocentricism and becoming far from the task of creating poetic impression. Though it may not be regarded as a proper name, the title of ‘the fu

목차

1. 문제제기
2. 俗諦, 識作用, 有我意識: 대립과구속
3. 眞諦, 轉識得智, 無我意識: 자유와 해방
4. 眞俗不二, 一心, 大我意識: 울림과감동
5. 결어 : ‘시적 감동’의 새로운 의미와 우리 시가 나아갈 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효구(Jeong, Hyo-goo). (2015).‘시적 감동’에 관한 불교심리학적 고찰. 한국문학논총, 71 , 127-160

MLA

정효구(Jeong, Hyo-goo). "‘시적 감동’에 관한 불교심리학적 고찰." 한국문학논총, 71.(2015): 12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