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山 金善臣 編纂 『頭流全志』의 구성 내용과 특징

이용수 208

영문명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eongsan(淸山) Kim Seongsin(金善臣)'s Compilation, 『Duryujeonji(頭流全志)』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전병철(Jeon Byeong cheol 全丙哲)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2輯, 315~35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에 어떤 특정한 산에 관해 문학ㆍ역사ㆍ지리 등 종합적인 체계성을 가지고 편찬된 山誌는 현재까지 조사한 바로는 3종이 있을 뿐이다. 지리산은 金善臣(1775~?)의 "頭流全志』가 있으며, 주왕산은 徐元模(1787~1858)의 『周王山志』 가 있다. 그리고 청량산에 관해서는 李世澤(1716~1777)의 『淸凉志』가 있다. 이 글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산지가 지니는 중요한 의미와 그것에 상응하는 연구 진행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작성하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두류전지』를 중심으로 구성 체계와 주요 내용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현재 『두류전지』는 국립중앙도서관본(위창古2706-1)과 고려대학교 도서관본(대학원 B10 A7)의 2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두 판본 모두 필사본인 점으로 볼 때 간행된 적이 없다고 추정된다. 『두류전지』상권 첫 면에 '崇陽金善臣輯'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므로 편찬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서문이나 발문이 수록되어 있지 않아 편찬 동기와 경위 등에 관한 자세한 사실을 파악할 수 없다. 하지만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볼 때, 김선신이 1823년 무렵 2년간 嶺南 召村驛 察訪으로 재직할 당시 편찬했다고 판단된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는 『두류전지』와 달리 『頭流志』(대학원 B10 A50)라는 이름의 산지가 소장되어 있는데, 『두류전지』의 초고본이라고 판단된다. 그 근거는 첫째, 『두류지』에서 수정한 내용이 『두류전지』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 '頭流全志'라는 편제는 '頭流志'의 초고본을 배경으로 하여 성립될 수 있는 이름이다. 『두류지』의 제목이 '두류산에 관한 기록'이라는 뜻을 가진다면, 『두류전지』의 이름은 '두류산에 관한 완전한 기록'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두류전지』는 『두류지』의 거의 모든 내용이 수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서 보완되고 확장되어 더 많은 내용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두류전지』의 구성 체계는 크게 상권과 하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권은 첫 부분에 <頭流祖宗身子孫族黨摠略之圖>와 <頭流身圖>라는 2편의 지도가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第一 <頭流祖宗譜>, 第二 <頭流身記>, 第三 <頭流子孫錄>, 第四 <頭流族黨攷>, 第五 <流水經> 등의 내용을 총괄하는 지도이다. 그 뒷부분은 第六 <麗山郡邑誌>, 第七 <選勝編>, 第八 <祠院樓亭略>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하권에는 第九 <梵天摠表>, 第十 <古蹟箚>, 第十一 <貼山詩話>, 第十二 <補塞遺脫章>, 第十三 <頭流雜識> 등이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 부분에 <環山州縣坊里圖>라는 제목의 지도는 第六 <麗山郡邑誌>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두류전지』는 상권의 8개와 하권의 5개를 합해 총 13개의 주제로 편성되어 있다. 이 13개의 주제를 유형별로 나누어 본다면, 第一~第五는 자연지리에 관한 내용이고 第六~第七은 지리산권의 지역적 범위와 명승지에 대한 서술이며, 第八~第十三은 문화유산에 관한 기록이다. 『두류전지』는 방대한 자료를 토대로 지리산의 자연지리ㆍ군현ㆍ누정ㆍ고적ㆍ문학작품ㆍ일화 등을 총망라했다. 특히 지리산을 한 인격체에 비견하여<頭流祖宗譜>ㆍ<頭流身記>ㆍ<頭流子孫錄>ㆍ<頭流族黨攷> 등의 독특한 주제를 통해 우리나라 국토에서 가지는 지리적 의미를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금강산을 才士에 비유하고 지리산을 德老에 빗대어 빼어난 금강산보다 덕스러운 지리산을 더 높이 평가하는 관점을 드러냈다. 이와 같은 『두류전지』의 구성 체계와 지리산에 대한 김선신의 시각은 소촌역 찰방의 공적 임무를 가진 관리로서 가지게 된 입장에 연유한 것이 아닐까 추론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repared for the crucial meanings of mountain magazines compiled during Chosun and also the necessity of researching into them. Among them, the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major contents of 『Duryujeonji(頭流全志)』mainly. It is estimated that 『Duryujeonji(頭流全志)』was compiled around 1823 while Cheongsan(淸山) Kim Seongsin(金善臣) was working as a Yeongnam(嶺南) Sochonyeok(昭村驛) Chalbang(察訪) for two years.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possesses a mountain magazine titled as 『Duryuji(頭流志)』, not 『Duryujeonji(頭流全志)』, and it seems to be the draft of 『Duryujeonji(頭流全志)』.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Duryujeonji(頭流全志)』, it is largely divided into volume one and two. In the first part of volume one, there are two maps drawn: 「Duryujojongsinjasonjokdangchongyakjido(頭流祖宗身子孫族黨摠略之圖)」and 「Duryusindo(頭流身圖)」, and these are the maps that generally include the contents of the first 「Duryujojongbo(頭流祖宗譜)」, the second 「Duryusingi(頭流身記)」, the third 「Duryujasonrok (頭流子孫錄)」, the fourth 「Duryujokdanggo(頭流族黨攷)」, and the fifth 「Ryusugyeong(流水經)」, and so on. And next, it contains the sixth 「Yeo sanguneupji(麗山郡邑誌)」, the seventh 「Seonseungpyeon(選勝編)」, and the eighth 「Sawonnujeongryak(祠院樓亭略)」, and so on. Volume two includes the ninth 「Beomcheonchongpyo(梵天摠表)」, the tenth 「Gojeokcha (古蹟箚)」, the eleventh 「Cheopsansihwa(貼山詩話)」, the twelfth 「Bosae kyutaljang(補塞遺脫章)」, and the thirteenth 「Duryujapji(頭流雜識)」, and so on. On the last part, there is a map titled as 「Hwansanjuhyeonbangrido (環山州縣坊里圖)」which describes the sixth 「Yeosanguneupji(麗山郡邑誌)」as a drawing. As mentioned above, 『Duryujeonji(頭流全志)』is compiled with total 13 topics: 8 from volume one and 5 from volume two. Categorizing these 13 topics, you can see that the first to fifth are about natural geography, and the sixth to seventh describe the regional range and scenic spots of Jiri Mountain, and the eighth to thirteenth are about cultural heritages. Based on a vast amount of data, 『Duryujeonji(頭流全志)』covers Jiri Mountain's natural geographyㆍGunhyeonㆍarboresㆍancient relicsㆍliterary worksㆍtales all. In particular, it personifies Jiri Mountain and reveals the 「Duryujojongbo(頭流祖宗譜)」ㆍ「Duryusingi(頭流身記)」ㆍ「Duryujasonrok (頭流子孫錄)」ㆍ「Duryujokdanggo(頭流族黨考)」. In addition, it compares Geumgang Mountain to 'a talented person' and Jiri Mountain to 'an old man with a fine personality', which shows its view to evaluate Jiri Mountain more highly than Geumgang Mountain for its virtues. Kim Seongsin's such view to Jiri Mountain and Duryujeonji(頭流全志) 's organizational system may have been attributed to his position as an official equipped with public duties as a Sochonyeok Chalbang.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頭流志』와 『頭流全志』의 내용 비교를 통한 정본 확정
3. 『頭流全志』의 구성 체계와 주요 내용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병철(Jeon Byeong cheol,全丙哲). (2015).淸山 金善臣 編纂 『頭流全志』의 구성 내용과 특징. 대동한문학, 42 , 315-354

MLA

전병철(Jeon Byeong cheol,全丙哲). "淸山 金善臣 編纂 『頭流全志』의 구성 내용과 특징." 대동한문학, 42.(2015): 315-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