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境界人의 고뇌 - 燕巖 朴趾源

이용수 451

영문명
Yeonam Ji-won Park : The Agony of Man in Borderline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혈조(Kim Hyul jo)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2輯, 279~31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계라는 말은 연암이 언급한 '際'라는 글자를 번역한 것이고, 그 경계에 선 사람을 경계인이라고 한 것이다. '경계'라는 말을 제시한 연암은 그 자신 경계인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연암은 양 극단의 어느 한쪽에 속하지 않은 중간지대에 있으면서 양극단을 지양하고 상호보완하면서 제3의 영역을 모색 지향하는 삶을 살았다. 따라서 연암에게 있어서 '경계'라는 말은 그의 문학은 물론, 그의 인간자세까지 연역해낼 수 있는 핵심어이다. 본 논문은 경계인의 관점에서 청나라에 대한 인식 및 정조 임금에 대한 신하로서의 자세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 보았다. 그리하여 연암이 보인 北伐과 北學이라는 양 극단을 지향한 제 3의 관점, 국왕 정조에 대해서도 주체적인 신하의 자세 등이 모두 경계인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Borderline is translated from Chinese letter Jae(際) refered to by Yeonam(燕巖), and man standing between the two extremes is called man in borderline. Yeonam who has suggested the word borderline has held the stance of man in borderline. Yeonam has pursued the boundary which does not belong to any of both extremes, tried to avoid both in a mutually supplementary way, and finally explored the third zone. Accordingly the word borderline, for Yeonam, is the linchpin from which what he is and his literature can be deduced. This paper has closely debated Yeonam's viewpoint for Chung Dynasty and his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 as a subject. Thereby not only the third way overcoming both extremes : Northern Expedition(Bukbeol-北伐) and Northern Learning (Bukhak-北學), but also his independent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正祖) as a subject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 in borderline.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경계, 경계인, 경계인의 철학
3. 청에 대한 경계인의 자세
4. 국왕 정조에 대한 경계인의 처신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혈조(Kim Hyul jo). (2015).境界人의 고뇌 - 燕巖 朴趾源. 대동한문학, 42 , 279-313

MLA

김혈조(Kim Hyul jo). "境界人의 고뇌 - 燕巖 朴趾源." 대동한문학, 42.(2015): 279-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