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사 ‘행여’의 통시적 연구

이용수 163

영문명
A Diachronical Study of Adverb ‘Haengye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금영(Kum-young, L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2輯, 79~1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부사 ‘행여’의 통시적 고찰을 통해 중세국어 이후의 그 분포 양상과 의미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세국어 시대의 ‘혀’는 한자어 어근‘幸/-’에 접미사‘->혀’가 결합된 것으로, 주로 조건의 연결어미‘-거든, -면’ 구문에 나타나나 그 밖에 평서문이나 ‘-려니와, -ㄴ, -니, -어, -고’와 같은 연결어미 구문, 그리고 관형절 및 명사절에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이 시대의 ‘혀’는 주로 ‘다행히, 바라건대, 부디’와 같은 한자 본래의 의미대로 쓰였으며, ‘-면, 거든’ 구문과 같은 일부의 환경에서만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근대국어 시대의 자료에서도 여전히 한자 본래의 의미를 나타내는‘혀’ 구문이 쓰였다. 그러나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혀’는 그 분포가 확대되어 중세국어 자료에는 보이지 않는 의문문이나 조건의 연결어미 이외의 연결어미 구문에서도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혀’가 확인되었다. 온라인 말뭉치 자료에 나타나는 현대국어의 ‘행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즉 의문문이나 조건의 연결어미‘-면’ 구문뿐만 아니라 추측을 나타내는 평서문과 부정명령문, ‘-ㄹ세라, -다가는’등과 같은 다양한 연결어미 구문, 그리고‘-기’ 명사절이나 관형절 등과 결합하는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행여’는 한자 본래의 의미기능은 사라지고 일반적인‘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로 분석되었다. 다만 관용적 쓰임의 ‘행여(나) 하-’구문과 부정명령문등과 같은 일부 제한된 환경에서만 한자 본래의‘기대’의 의미기능이 살아남아 일종의 ‘기대적 가정/추측’과 같은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Korean adverb ‘haengyeo’ diachronically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the adverb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Middle Age. The adverb in the Middle Age was formed by a combination of Chinese word ‘幸/hʌyŋ’ and the adverbial suffix ‘-hhyeo>hyeo’. The adverb ‘hʌyŋhyeo’ occurred in declarative sentences, ‘-keodeun, -myeon’ conditional clauses, and clauses of other connective endings; ‘-lyeoniwa, -ni, -eo, -ko’, and adnominalㆍnominal clauses. However, it was mainly used in conditional clauses and not productively used in other constructions. It mainly expressed the original meaning of ‘hʌyŋ(hope, fortunately, please)’ in many constructions, while it also expressed ‘assumption’ or ‘supposition’ in some conditional and adnominal clauses. The adverb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Chinese word ‘幸’ was still used in Modern Korean.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adverb was extended to some exclamatory, interrogative, (negative) imperative constructions and several concessive clauses. Similarly, the distribution of the adverb expressing ‘assumption’ or ‘supposition’ was extended to interrogative sentences and some concessive and causal clauses. ‘Haengyeo’ in the on-line corpus of contemporary Korean showed various distributions that have not been completely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It occurred in interrogatives, negative imperatives, and declarative sentences expressing supposition. In addition, it occurred in clauses of various connective endings including ‘-myeon, -lsera and -taganeun’ and ‘-ki’ nominal and adnominal clauses. ‘Haengyeo’ in contemporary Korean is considered as an adverb expressing ‘assumption’ or ‘supposition’ and no longer considered as an adverb with the original meaning. ‘Haengyeo’ in the constructions such as ‘haengyeo(na) ha-’ and negative imperatives appears to keep the original meaning, but its semantic function is actually analyzed as ‘assumption’ or ‘suppositon’ with a positive expectatio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중세국어 ‘혀’의 분포 양상과 의미
3. 근대국어 ‘혀’의 분포 양상과 의미
4. 현대국어 ‘행여’의 분포 양상과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금영(Kum-young, Lee). (2012).부사 ‘행여’의 통시적 연구. 어문연구, 72 , 79-102

MLA

이금영(Kum-young, Lee). "부사 ‘행여’의 통시적 연구." 어문연구, 72.(2012): 79-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