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陰 金尙憲의 疏箚 考察

이용수 70

영문명
Cheongeum Sanghyeon Kim’s Appeal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하윤(Ha-yoon,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2輯, 185~21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淸陰 金尙憲은 선조에서 인조대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사란(壬辰ㆍ丁酉ㆍ丁卯ㆍ丙子)의 소용돌이를 모두 경험한 관료문인이다. 그는 대표적 척화대신으로 국론을 이끌어 조선후기 사회의 국가대의로 기능한 北伐論의 기초를 놓았다고 평가받으며,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여 후세에 節操의 상징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의 문장과 節義는 正祖와 桐溪 鄭蘊에게 극찬을 받았고, 청나라 사람들에게까지도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본고는 조선 중기 淸陰 金尙憲의 疏箚중에서 당시의 실상과 청음의 시대인식을 엿볼 수 있는 時弊疏와 諫諍疏를 통하여, 청음 소차의 槪況과 內容을 파악하였다. 청음의 소차는 모두 140편인데, 上疏와 箚子가 거의 5:5의 동일한 비율로 창작되었고, 諫長에 제배된 1624년을 기점으로 창작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諫長으로서의 책임감을 다하고자 했던 그는 소차에서도 왕에 대한 直諫의 정도를 강하게 표출하였다. 그리고 여러 자리에서 진퇴를 반복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辭免疏와 請願疏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던 것이다. 청음은 왕권의 정통성을 확립하여 백성을 안정시키고, 時弊의 匡正을 위해서는 言路가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君臣간의 의사 전달 창구가 언로인데, 언로의 開閉는 곧 나라의 存亡까지 이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언로의 원활한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언로의 수직적인 소통에 이어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公道가 시행되야 함도 강조하였다. 賢才를 기용하고, 近臣들의 直言을 귀담아 들으며, 백성들을 위하는 爲民政治의 모범을 보이는 것이 公道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음 당대의 현실은 私情에 치우쳐 公道政治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力說하고 있다. 또한 上下의 言路가 소통되어 바른 도리인 공도가 회복된다면, 당대의 弊政은 자연스럽게 개혁되고 실추된 민심이 회복되어 人心도 돌아올 것이라고 보았다. 결국 국가가 扶持되는 원동력은 人心이고, 인심은 곧 하늘의 뜻인 것이다. 청음은 자신이 겪었던 당대의 폐정을 疏箚라는 형식을 빌어 임금께 직언하고 정치에 반영하여 세상을 匡正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임금의 뜻이 백성들의 마음에 순응하게 되면 하늘도 자연스럽게 왕에게 民治의 정당성을 부여해 준다고 본 것이다.

영문 초록

From King Seonjo to King Injo, Cheongeum Sanghyeon Kim was caught up in a political vortex in the Joseon dynasty as a bureaucratic literacy man, experiencing massacre of scholars of Imjin, Jeongyu, Jeongmyo, and Byeongja. His repu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d that he was a representative minister who rejected peace and he established base of sending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which served as a country representative. Also, he was highly praised as his image of integrity, putting high value on moral obligations and loyalty. In addition, his writings and moral obligations won rave reviews from Donggyeo Jeongon and even Ching people admired him with great a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eongeum’s appeals focusing on its overall condition and contents to explore re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he times through looking at the letters of correcting corruptness of the times (Sipyeoso) and that of begging (Ganjaengso). Total number of Cheongeum’s appeals is 140, created in the ratio of 5: 5 between appeals and simple form of appeals (Chaja). The period of creation was focused on 1624 when he was appointed as a chair of appeals; he strongly expressed his appeals to King directly in his appeals to fulfill his duty as a chair of appeals and his repeated appointment in various positions brought many letters of begging and appeals in general. He argued that the press was highly important to secure King’s legitimacy, to stabilize people’s livelihood, and to correct corruptness of the times. According to what he asserted, it was the press that could make communication clearly and effectively between king and servant. He believed the opening and closing could cause one nation failed by emphasizing good communication of the press. On top of that, he put a stress on implementing path of justice that could be used in common in addition to vertical communication of the press. What he suggested as a path of justice was employing a man of knowledge and wise, listening to plain speaking, and showing exemplary politics for the people. In spite of his idea of a path of justice, situation of the time was, paradoxically, too much biased by personal feeling to implement it. With regaining a fair path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press up and down, he believed negative effects of the politics could be renovated and people’s alienated mind would be recovered naturally, bringing people’s mind back; driving force of a nation is the mind of the people and the mind of the people is the mind of heaven. Fit into a pattern of appeals, Cheongeum spoke plainly the negative effects of politics he had experienced and sought to reflect them on politics for correctness. In this way, authority of legitimacy he believed would follow naturally and endow king to rule over the people from the heaven when king’s mind conformed the mind of the peopl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2. 청음 疏箚의 槪況
Ⅲ. 청음 疏箚의 內容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윤(Ha-yoon, Kim). (2012).淸陰 金尙憲의 疏箚 考察. 어문연구, 72 , 185-214

MLA

김하윤(Ha-yoon, Kim). "淸陰 金尙憲의 疏箚 考察." 어문연구, 72.(2012): 185-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