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 용언의 품사 분류에 관한 인지적 접근

이용수 1245

영문명
A Cognitive Linguistics Approach on the Categorization of Korean Predicate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숙의(Suk-eui, L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2輯, 133~1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늙다’와 ‘모자라다’와 같은 품사 경계가 모호한 어휘에 대한 인지 언어학적 의미 해석을 시도하고, 연속적 접근(continuum approach)관점에서의 품사 분류 방법을 논의한다. 따라서 동작 동사와 상태동사의 범주 경계 모호성에 관한 인지적 접근 방법을 통한 품사 분류 관점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구체적 기술을 위한 논의로, 4장에서는 ‘가다, 늙다, 모자라다, 젊다’의 어휘의미와 상표지의 결합 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연속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범주의 경계에 있는 모호한 어휘의 품사 적용에 대한 타당한 설명을 하고자 시도하였다. 동사와 형용사의 범주에 속하는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정도나 등급의 차이가 있는 여러 유형이 있다는 인지언어학적 전제 아래, 과정의미가 없고 시간성과 무관한 어휘라도 탄도체와 지표의 일치에 대한 과정적 인식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면 동사범주에 속한다고 보았다. 본고의 의의는 형태, 의미, 기능의 세 가지 기준에 의한 이분법적 분류만으로는 납득하기 어려운 어휘에 대해 인지적 차원의 연속적 접근 관점으로 품사의 적용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법을 제안한다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는 두 범주에 속하는 네 가지 유형의 어휘에 관한 논의에만 한정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동사와 형용사로 통용이 가능한 다른 유형의 어휘에 관한 의미 분석이나 다른 품사 범주의 경계에 놓인 어휘에 관한 연구의 연장된 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amining a predicate class of Korean from cognitive linguistical viewpoint. In prescriptive grammar of Korean, predicate category is divided into two parts, verb and adjective class. Some predicate has properties both verb and adjective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decide their parts of speech, such as ‘늙-, 모자라-’. Focus of here is on the explaining why a word belongs to the verb or adjective class by analyzing cognitive meaning. For example, ‘모자라-’ does not relate to [process] and [time], but it isn’t an adjective. To categorization, the continuum approach is more useful than the dichotomy approach.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four words. ‘가-’, ‘젊-’ are typical examples of each class, ‘늙-’, ‘모자라-’ are the marginal examples. ‘가-’ is belong to the verb class; this is obvious fact, because the lexical meaning has [process] and related to [time], so it is natural the stem of ‘가-’ can combine with ‘-ㄴ/는-’, ‘-고 있다’ and ‘-어 가다’. However, ‘늙-’ is little different case. [Process] meaning of ‘늙-’ is abstract, but it is related to [time], because the movement of the traject is abstract and the domain of landmark is unclear. From movement of traject, although movement of traject is invisible, ‘늙-’ can combine with ‘-ㄴ/는-’, ‘-고 있다’ and ‘-어 가다’. ‘모자라-’ doesn’t relate to [process] and [time], means [state]. It has no movement of traject in schema. But landmark has standard point. It is a kind of destination (or directing points) where traject proceed to reach. A gap between traject and landmark area relate to change of “degree of lack”, so it become more similar to verb. ‘젊-’ means [state] and [non-time], also there is no standard point inside landmark as ‘모자라-’. A a gap of area between traject and landmark does not relate to change of “degree of young”. In this respect ‘젊-’ is obviously different with ‘모자라-’, and then it can not combine with present or progressive marker.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 연구
3. 품사 범주의 비경계성
4. 용언의 품사 분류에 관한 인지적 접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의(Suk-eui, Lee). (2012).국어 용언의 품사 분류에 관한 인지적 접근. 어문연구, 72 , 133-160

MLA

이숙의(Suk-eui, Lee). "국어 용언의 품사 분류에 관한 인지적 접근." 어문연구, 72.(2012): 13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