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체 떠넘겨 살인 누명 씌우기 담’ 연구

이용수 122

영문명
‘死体を移し殺人の罪を被せる談’硏究 - 韓ㆍ日比較を中心に -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서은경(徐恩慶)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2輯, 277~30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체 떠넘겨 살인 누명 씌우기 담(이하, 시체 떠넘기기 담)’은 시체를 이용한 사기 모티프의 반복구조를 통해 설화 향유자에게 웃음을 전달하는 소화형 민담으로 세계적 광포설화에 속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전승되는 ‘시체 떠넘기기 담’의 특징을 보다 명징하게 부각시키기 위한 연구 방법의 일환으로 특히 인접국인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양국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민중의식을 살펴보고, 나아가 설화의 변용에 수반된 설화윤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시체 떠넘기기 담’은 살인자 혹은 살인자의 상담을 받은 자가 시체를 다른 장소로 옮겨 타인에게 죄를 전가시킴으로써 이익을 얻는 이야기다. 한국과 일본, 현재 문헌기록으로 전승되는 『천일야화』의 예화를 살펴본 결과 이들의 공통 모티프는 시체를 옮겨 자신의 죄를 전가시키고 있다는 점과, 방법 면에서 시체를 무고 대상의 집에 세워 놓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 있었다. 반면 시체의 생성요인과 무고 행위의 주도자, 시체를 떠넘기는 장소 등은 각기 변용되어 전승된다. 시체를 떠넘기는 대상이 주인공에 비해 수직적인 양상을 보이는 한국은 기존 질서의 부조리를 고발하고자 하는 각성된 민중의식이 노정된 것이며, 수평적 양상을 보이는 일본의 경우는 조직을 우선시하고 ‘和’를 중시하는 사유가 작용된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경우 ‘아내에의 징치’ 삽화가 거의 대부분의 예화에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 설화 향유자의 지극히 남성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인 사고가 반영된 때문이다. 설화의 변용 면에서 한국의 ‘샛서방 삽화’의 삽입과, 일본의 ‘전문 트릭스터’의 등장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살인과 사기라는 범죄 행위에 설화적정당성을 부여하고자하는 설화 전승자의 무의식적 윤리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에 전승되는 ‘시체 떠넘기기 담’의 비교과정을 통해 같은 이야기라도 각국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설화 향유층의 윤리의식에 의해 매우 유동적으로 변용, 전승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本稿は、世界的に廣く分布し、古い文獻にも伝承されている‘死体を移し殺人の罪を被せる談(以下、死体移し談)’を檢討し、韓國と日本の特徴を調べ、そこに現れた兩國の社會ㆍ文化的背景や民衆意識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死体移し談’は殺人者、あるいはその相談を受けた者が、死体を次々別の所に運び、それらの人に自分が殺したと思わせて利益をえる話である。日本の場合、この物語は「知惠有り殿」という名で、韓國では「セッソバン(間夫)説話」として伝承されているが、ここではそれらの物語を‘死体を移し殺人の罪を被せる談’と名付けて考察しようとする。 まず、2章では、‘死体移し談’のより効果的な比較のために、現在文獻記録として伝承されている『千一夜物語』の中の「せむし男」を檢討し、それから韓國と日本の‘死体移し談’を調べてみた。その結果、‘死体移し談’の共通モチーフは、死体を運んで自分の罪を轉嫁させている点と、その方法として、死体をターゲットの家に立てておくという点であると同時に、その他に、死体の生成要因と、誣告の主導者、誣告の行爲を行う場所などは、各々変容して伝承さ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3章では、韓國と日本の変異挿話を、その時の社會ㆍ文化的背景と照らしてみた。その結果、次の3つの結論を導き出すことが出來た。 先ず、死体を運ぶ對象となる所は、韓國の場合、主人公に比べて相對的に優位の人物として設定されている。これは、それまでの不條理な秩序を告發する、覺醒された民衆意識が現れたものであると思われる。それとは違って、日本の場合、主に社會問題との係わりの有る場所が殆んどであり、その對象も、反社會的な人物として描かれている。これは疲弊し、また混亂した当時の社會像が反映されたものであると同時に、組織を優先し、‘和’を重視する日本的な思惟が作用したためであると言えよう。 次に‘セッソバン(間夫)挿話’を含んでいる‘死体移し談’の中で、‘妻への戒め’モチーフが見られるのは韓國だけであるが、それは韓國での語り手と、聞き手である昔話伝承者の、極めて男性中心的、また家父長的な思考が反映されているからである。 第三に、韓國での‘セッソバン(間夫)挿話’の挿入と日本の‘専門トリックスター’の登場には、犯罪である殺人行爲と、それに伴った死体を運んで誣告する行爲に對し、説話的な正当性を与えようとする、昔話伝承者の無意識的な倫理觀が作用したためであると考えられる。 以上、‘死体移し談’の類型と特徴を韓國と日本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その結果、同じ物語でも、各國の社會ㆍ文化的背景や伝承者の社會倫理的な觀点によって、非常に流動的に変容し、流轉するという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のである。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시체 떠넘기기 담’의 양상
3.‘시체 떠넘기기 담’의 변이 양상과 의의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은경(徐恩慶). (2012).‘시체 떠넘겨 살인 누명 씌우기 담’ 연구. 어문연구, 72 , 277-303

MLA

서은경(徐恩慶). "‘시체 떠넘겨 살인 누명 씌우기 담’ 연구." 어문연구, 72.(2012): 277-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