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통합교실에서의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지

이용수 154

영문명
An ethnographic study about peer relationship between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non-impaired children in a reverse inclusion early childhood classroo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임연수(Lim, Yeon Soo) 김희연(Kim, Hee Yeon)
간행물 정보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0 추계학술대회, 477~51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0.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통합교실에서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또래관계를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를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들은 ‘보기’를 매개로 또래관계를 변화시켜 나갔고 이는 세 가지 국면으로 포착되었다. 첫 번째 국면은 보기의 인식으로 시작되는 관계의 시작으로, ‘눈 안 보이는 애들’과 ‘쟤’들의 따로 살이로 특징지어진다. 각 집단의 유아들이 자신들의 보기 방식으로 서로에게 접근하고 자신과는 다른 상대 집단의 보기에 반응하는 관계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국면은 보기를 경계로 교차되는 관계의 진전으로, 주류와 비주류의 중첩성을 보이는 겹 더부살이와 같은 특징을 보였다. 유아들은 자신들의 보기 방식을 경계로 삼아 서열 배치를 하고 자신과는 다른 보기를 하는 상대집단에 대해 불평을 하는 방식으로 요구를 드러내는 관계로 변화되었다. 세 번째 국면은 보기를 경계로 교차되는 관계의 진전으로서, 유아들은 분리된 집단으로서의 ‘나’와 ‘너’가 아닌 더불어 ‘우리’로 살아가는 한 살이의 또래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서로의 보기 인식을 넘나들면서 환상놀이와 보기놀이를 재구성하는 또래관계를 형성해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의 의미, 통합교육의 효과, 시각장애유아와 통합교육, 유아들의 또래관계라는 4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non-impaired children make peer relationship in a reverse inclusion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peer relationship of Hatnim-ban children was arranged into three phases, which are distinctive through the medium of ‘seeing.’ The first phase is to begin relations through recognizing seeing and to characterized as the culture of separate life of the group, called ‘someone who can't see’ and the group, called ‘they.’ Each group approached to the other group with their own ways of seeing, and each group responded to the ways of seeing of the other group. The second phase is to progress relations through crossing the border of seeing and to characterized as the culture of double-layered living-off life of the mainstream and the branch. Vidually impaired children set themselves in a higher power rank in the whole classroom unit, bnd they were set in a lower power rank in a sub play-group unit at the classroom, with the border of seeing. Non-impaired children expressed their needs and complains. The third phase is to encounter individuals beyond the border of seeing and to characterized as the culture of unified life of ‘us.’ Visually impaired children flowed into imagination play with non-impaired children. On the other hand, non-impaired children flowed into seeing play egies oconstruwed imanner and exseeded the meaning of seeing.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in four aspects;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the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the inclusive education of visually impaired, peer relationship in early childhoo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역통합교실에서의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
Ⅳ.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연수(Lim, Yeon Soo),김희연(Kim, Hee Yeon). (2010).역통합교실에서의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지.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010 (3), 477-518

MLA

임연수(Lim, Yeon Soo),김희연(Kim, Hee Yeon). "역통합교실에서의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지."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010.3(2010): 477-5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