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자 DNA정보채취에 대한 헌법적 고찰

이용수 166

영문명
Verfassungsrechtliche Untersuchung über die Aufnahme der DNA-Daten von Verbrechern - als Mittelpunkt von dem 'Gesetz über die Benutzung und den Schutz der DNA-Idenifizierungsdaten' -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김성준(Seongjun Kim)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5卷 第3號, 59~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얼마 전 나영이사건(일명 조두순사건)이 소개되면서 범죄수사의 목적의 유전자 감식에 관한 입법여부에 대한 문제가 다시 대두되었다. 이러한 심각한 아동 성폭력 등 흉악범 엄벌을 위한 정부대책의 결실로서 획기적이고 실효성 있는 흉악범 근절이라는 목적을 위해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다시 한번 추진하여 이미 2009년 5월 27일에 입법예고하여 10월 20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였다. 유전자검사란 각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DNA변이체들에 대한 유전적 분석을 통하여 그 개인이 누구인지를 식별해 낼 수가 있기 때문에 개인식별 목적의 유전자 검사는 범죄현장 조사를 포함한 법의학적 검사, 친자감별조사, 그리고 개인들간의 가족관계의 확정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감식(채취)은 헌법 제27조의 무죄추정의 원칙에 위배되며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을 침해한다는 주장들도 제기되어 왔다. 유전공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DNA 분석과 해독은 지금까지 극복하지 못했던 다양한 병들에 대한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쳐 온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기술은 형사절차 분야에서도 적극 활용되어 효율적인 범죄인 검거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한 사례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DNA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남용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DNA정보의 수집, 가공, 사용에 있어서 당사자의 프라이버시 침해와 신체불가침권 위반 및 무지추정의 원칙에 위배되어 침해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러한 측면에 대한 법적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동법안을 검토하였다. DNA정보에 있어 의학적으로 유전정보와 유전자정보는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DNA정보 중 단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만 담고 있는 유전자정보는 당사자의 사생활의 비밀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으며, 구강 속 DNA채취는 신체적 침해를 거의 야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통도 수반하지 않으므로 적어도 개인의 신체 불가침권에 대한 침해행위가 미미하거나 과도하지 않은 경우에는 법적 요건을 충족한 경우라면 채취가 허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수사단계에서도 DNA감식시료 채취를 허용하는 것은 당해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의심되는 피의자/피고인에 대한 무죄 추정의 원칙을 침해하기 때문에 DNA채취 대상의 범위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국회와 정보는 적극적으로 다양한 여론을 수렴하여 법안에 반영시켜서 최소한 법적한계를 준수하면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Vor einiger Zeit wurde über den sogenannten Nayoung-Fall(auch Jodusun-Fall genannt) berichtet, und damit wurde die Frage der Gesetzgebung über das DNA-Test zum Zweck der Ermittlung der Verbrechen wieder geltend gemacht. Als Ergebnis der Regierungspolitik zur starken Bestrafung der Verbrecher wie schwerer Kindmissbraucher wurde noch einmal versucht, zur bahnbrechenden wirksamen Bekämpfung der Missetäter das Gesetz über die Benutzung und den Schutz der DNA-Identifizierungsdaten zu geben. Und schon am 27. Mai 2009 wurde das Gesetz zur Gesetzgebung voranverkündigt und am 20. Oktober von der Kabinettsitzung beschlossen. Mit dem DNA-Test lässt sich mittels der DNA-Analyse über die DNA-Variante jeweiliger Person identifizieren, wer die Person eigentlich ist, deshlab ist das DNA-Test zur persönlichen Identifizierung zu unterschiedlichen Zwecken benutzt wie rechtmedizinische Untersuchung, DNA-Vaterschaft-Test und Feststellung der Verwandtschaft zwischen den Individuen einschließlich der Ermittlung des Tatorts. Aber ist auch behauptet worden, dass dieses DNA-Test(Aufnahme) den Grundsatz der Unschuldigkeit vor der Verurteilung verletzt und die Privatsphäre der Person beeinträchtigt. Die sehr empfindlichen Daten wie DNA-Daten können missbraucht werden, und gerade deshalb muss so gewährleistet werden, dass bei der Erhebuung, Verarbeitung und Anwendung der DNA-Daten die Privatsphähre, die körperliche Unversehrtheit und der Greundsatz der Unschuldigkeit vor der Verurteilung nicht verletzt und beeinträchtigt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auf den rechtlichen Beurteilungen über diese Aspekte beruhend, diese Gesetzvorlage untersucht. Was DNA-Daten betrifft, die Gene-Daten und DNA-Daten unterscheiden sich medizinisch voneinander, und daher kann einerseits nicht so angesehen werden, dass die DNA-Daten nur mit den Daten zur Identifizierung die Privatsphähre des Betroffenen beeinträchtigen. Aber andererseits schon in der Phase der Ermittlung müssen deshalb definierte rechtliche Grundlage über die Bereiche der zu testierenden Personen festgestellt werden, weil das DNA-Test den Grundsatz der Unschuldigkeit vor der Verurteilung gegenüber den verdächtigen Tätern verletzt. Nunmehr sollen das Parlament und die Regierung aktiv verschiedene Meinungen aufnehmen, sie auf die Gesetzvorlage anwenden und diejenige rechtliche Grundlage schaffen, die unter der Erhaltung der mindest rechtlichen Schranke das Grundrecht der Bevölkerung nicht beeinträchtigt.

목차

I.들어가며
Ⅱ. DNA신원확인정보의이용및보호에관한법률과 DNA정보의 의의
Ⅲ. DNA신원정보관리법에 관한 헌법적 평가
Ⅳ.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준(Seongjun Kim). (2009).범죄자 DNA정보채취에 대한 헌법적 고찰. 세계헌법연구, 15 (3), 59-82

MLA

김성준(Seongjun Kim). "범죄자 DNA정보채취에 대한 헌법적 고찰." 세계헌법연구, 15.3(2009): 59-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