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牧隱 李穡의 佛敎觀 - 그의 記文을 중심으로
이용수 404
- 영문명
- Mokeun Lee Shaek and Buddhism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김재욱(Kim Jae-Wook)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3집, 199~22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려 후기의 牧隱 李穡(1328~1396)은 당대를 대표하는 성리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문학에는 성리학적 색채가 짙은 작품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그에 문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 역시 상당 부분성리학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고려 사회는 불교가 사회 저변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었으므로, 목은 역시 이러한 사회분위기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어릴 적부터 불교와 자연스레 접했으며, 성리학에 비견될 만한 불교적 소양을 지니고 있었다.
본고는 이색의 불교관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작성되었다. 그의 불교관을 구성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목은은 유년 시절부터 불교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② 그의 불교를 대하는 태도는 유학자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거리를 두는 것과, ③ 불교를 종교적 차원에서 인정하는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④ 결국 그는 유ㆍ불을 함께 인정하면서 양자의 共存을 지향하게 된다. ⑤ 유ㆍ불 공존의 이론적 기반은 사물의 보편성과 일체성을 긍정했던 華嚴思想이었다.
성리학에서는 불교를 이단으로 간주한다. 그러하기에 성리학자인 목은이 불교를 신봉한다는 것은 모순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조선 유학자들의 시각에서만 유효할 뿐이다. 포용력이 강한 불교의 관점에서 보면 유ㆍ불의 공존은 모순이 아니다. 목은의 시대에는 이것이 가능했기에 그의 태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인정해야 목은의 삶과 문학의 전모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와 같은 논의를 거쳐 본고는 목은이 성리학 전공자이었음에 틀림없으나, 동시에 불교를 마음으로 받드는 居士이기도 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본고는 이색의 불교관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작성되었다. 그의 불교관을 구성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목은은 유년 시절부터 불교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② 그의 불교를 대하는 태도는 유학자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거리를 두는 것과, ③ 불교를 종교적 차원에서 인정하는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④ 결국 그는 유ㆍ불을 함께 인정하면서 양자의 共存을 지향하게 된다. ⑤ 유ㆍ불 공존의 이론적 기반은 사물의 보편성과 일체성을 긍정했던 華嚴思想이었다.
성리학에서는 불교를 이단으로 간주한다. 그러하기에 성리학자인 목은이 불교를 신봉한다는 것은 모순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조선 유학자들의 시각에서만 유효할 뿐이다. 포용력이 강한 불교의 관점에서 보면 유ㆍ불의 공존은 모순이 아니다. 목은의 시대에는 이것이 가능했기에 그의 태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인정해야 목은의 삶과 문학의 전모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와 같은 논의를 거쳐 본고는 목은이 성리학 전공자이었음에 틀림없으나, 동시에 불교를 마음으로 받드는 居士이기도 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영문 초록
Mokeun Lee Shaek(1328~1396) is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Korea dynasty era. Major part of his literary works is influenced by Confucianism, and the studies on his works have focused on Confucianism accordingly. But the Buddhism was deeply embedded in the culture of the late Korea dynasty era, and it was inevitable for Lee Shaek to be influenced by Buddhism. Since his childhood, Lee Shaek naturally learned about Buddhism and he was as deeply into Buddhism as Confucianism.
This paper seeks Lee Shaek"s perspective on Buddhism with the following focuses: first, Lee Shaek ha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Buddhism from the beginning. Second, his identity as a confucian scholar had him have a distance from Buddhism though. Third, he acknowledged Buddhism as a religion. Forth, in the end, Lee Shaek accepted both teaching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seeked the co-existence of two philosophies. Fift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co-existence was the philosophy of Avatamska(화엄사상) that affirms the ubiquity and unification of things.
Confucianism rejects Buddhism as a heresy. So it may sound questionable to say that the confucian scholar Lee Shaek believed in Buddhism. But that is only so to the ears of confucian scholars of Chosu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which puts emphasis on openness, the co-existe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does not pose a significant discrepancy. It certainly did not matter in Lee Shaek"s era. To understand Lee Shaek"s life and works, this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Lee Shaek, the most importance scholar of Confucianism throughout the entire Korea dynasty era, also was an true follower of Buddhism.
This paper seeks Lee Shaek"s perspective on Buddhism with the following focuses: first, Lee Shaek ha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Buddhism from the beginning. Second, his identity as a confucian scholar had him have a distance from Buddhism though. Third, he acknowledged Buddhism as a religion. Forth, in the end, Lee Shaek accepted both teaching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seeked the co-existence of two philosophies. Fift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co-existence was the philosophy of Avatamska(화엄사상) that affirms the ubiquity and unification of things.
Confucianism rejects Buddhism as a heresy. So it may sound questionable to say that the confucian scholar Lee Shaek believed in Buddhism. But that is only so to the ears of confucian scholars of Chosu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which puts emphasis on openness, the co-existe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does not pose a significant discrepancy. It certainly did not matter in Lee Shaek"s era. To understand Lee Shaek"s life and works, this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Lee Shaek, the most importance scholar of Confucianism throughout the entire Korea dynasty era, also was an true follower of Buddhis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牧隱의 佛敎觀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牧隱의 佛敎觀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日帝下 小岡 金泰麟의 『童蒙須讀千字文』분석
- 尤庵 宋時烈의 記文에 形象化된 省察과 自樂의 意味
- 一然 연구의 현황과 과제
- 「紀異」, 「感通」의 서사와 향가의 작품세계
- 靈川子 申潛의 삶과 詩世界 - 幽人의 삶과 意識 變化 樣相을 중심으로
- 『三國遺事』 所載 「薯童說話」의 修辭學的 理解
- 『삼국유사』의 인용자료와 이야기의 중층성 - 초기 서사의 구축형태에 주목하여
- 『삼국유사』와 『겐코오샤쿠쇼(元亨釋書)』의 역사인식 비교
- 鄭誧 詩에 나타난 生命本質 및 生命欲求에 대하여
- 牧隱 李穡의 佛敎觀 - 그의 記文을 중심으로
- 蒼巖 李三晩의 書論 - 順自然의 양상을 중심으로
- 卞鍾運의 산문 연구
- 「피생명몽록」 연구
- 東洋漢文學會 會則 외
- 『삼국유사』의 불교설화를 통해 본 편찬의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