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이용수 63
- 영문명
-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Picasso's creative work through Janusian thinking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아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253~28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야누스적 사고’의 개념을 바탕으로 창의성과의 상관관계와 야누스적 사고와 창의적인 인물의 성격 특성을 살펴본다. 나아가 미술 분야에서 창의적인 피카소를 통해 그의 작품에 담겨진 야누스적 사고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야누스적 사고의 개념, 창의성과의 상관관계, 창의적인 인물의 성격 특성과 야누스적 사고의 관련성을 살피며 이를 통해 피카소의 생애와 창의적인 작품 세계, 나아가 그의 작품 속에 반영된 야누스적 사고를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야누스적 사고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는 시안을 제공하며 야누스적 사고와 창의성과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또한 피카소의 작품세계에 심리 정서적 측면과 야누스적 사고라는 관점에서 그의 작품을 설명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 있어 야누스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인 발상의 내용을 살펴볼 시안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Janusian thinking and creativity based on the concept of Janusian thinking, and to examine the Janusian thinking contained in his works through creative Picasso in the field of ar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Janusian thinking,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Janusian 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haracters and Janusian thinking, and examines the life of Picasso, the creative work world, and the Janusian thinking reflected in his work.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provide a draft to examine the concept of Janusian think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Janusian thinking and creativity. In addition,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explain Picasso's work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and Janusian think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a draft to examine the contents of creative ideas through Janusian thinking in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야누스적 사고와 창의성
Ⅲ. 피카소의 작품에 담겨진 야누스적 사고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와 유아의 비판적 사고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영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관계 증진 훈련(CTRT)을 적용한 유아-교사 상호작용 중심 놀이지원역량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