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이용수 80
- 영문명
- Visual Journal Learning Model in Art Education for Lif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하영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51~8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미술교육의 한 가지 방안으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과 이에 기반을 둔 비주얼 저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예술기반연구의 방법론에 따라 실행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개념과 특징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핵심 가치와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의 필요성에 관하여 밝혔다. 다음으로, 비주얼 저널 학습 모형(REVISE 모형)과 이를 기반으로 한 17주차의 비주얼 저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으며, 학생들의 비주얼 저널, 탐색적 질문지, 연구일지, 관찰일지, 소통 과정의 전사 기록, 소감문, 사진을 연구자료로 수집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핵심 가치인 ‘삶 속에서의 체험’, ‘자기 이해와 성장’, ‘타인 이해와 소통’, ‘삶의 문제해결’의 실천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arts-based research designs and implements a visual jour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sual journal learning model, as one of approach to enrich students' lives. To this end, I suggested the core values and directions of art education for life from literature review abou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for life. I also argued the necessity of visual journals in art education for life. I developed a visual journal learning model, titled “REVISE” model, and a visual journal education program for 17 weeks. This program was applied to 5th graders in Seoul. I collected students' visual journals, exploratory questionnaires, research journals, observation notes, transcripts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reflections, and photos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practicing 'experience in life,'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solving problems in life.'
목차
Ⅰ. 서론
Ⅱ. 삶을 위한 미술교육
Ⅲ.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
Ⅳ. 비주얼 저널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Ⅴ.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