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123
- 영문명
- A Program Proposa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chool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현 신혜선 이주연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215~25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4/1048345.jpg)
국문 초록
세계시민교육(GCED)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함께 UN의 ‘새천년개발목표’(MDGs) 이후 수립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양질의 교육’ 시행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교육 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설정된 현재의 세계시민교육은 그간의 인권교육, 국제이해교육, 민주시민교육, 문화간 이해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을 포괄하며, 학습자를 교육 주체로 하는 과정 중심적, 문제 해결 중심적, 참여와 실천 중심적 교육을 특징으로 한다. 세계시민교육은 UNESCO, UNESCO APCEIU, NGO 등의 노력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 연수 등을 통해 양적인 팽창이 이루어져 왔는데, 기후 위기, 팬데믹, 지속되는 국가 간 분쟁 및 재난 등으로 인해 공동체의 공존과 상생이 중요해지면서 다시금 이에 대한 인식 제고와 더불어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제도화와 정례화가 장려되고 있다. 또한 공동체 의식으로 세계와 소통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의 육성을 강조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면서 새로운 교육 체제 하에 기존의 세계시민교육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과별 교육목표와 핵심 역량의 재검토를 통해 새 교육과정과 연계된 구체적이고 적절한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깨닫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새 교육과정의 고시와 더불어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해 교육의 목적과 방향에 맞게 그 의미를 재개념화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미술과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핵심 키워드로서 ‘문화 다양성’(‘인권’, ‘평등’, ‘세계평화’)과 ‘지속가능 환경’(‘생태계’, ‘기후’, ‘지속가능 자원’)을 추출하였으며,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 2022a)의 학교급별, 내용 체계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내용 요소, 교수·학습 방법 등에 기반하여 세계시민교육의 각 핵심 키워드별 하위 주제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을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 및 반영될수 있도록 총 17개의 학교급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따른 학교급별 교과서가 2026년에 가서야 개발 완료되기 때문에, 교과별로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이때 본 연구 결과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미술 교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하나의 아이디어가 되어줄 것이다.
영문 초록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along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could be sai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education policy for implementing ‘Quality Education’ among UN’s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Current GCED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ncompassed ‘human rights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was process-oriented and problem-solving with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education. We aimed for central, participation-oriented and practice-oriented education. GCED has expanded quantitatively in terms of various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efforts of UNESCO, ‘UNESCO-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APCEIU), and other NGOs. But disasters between countries due to the climate crisis, pandemic, and ongoing conflicts and disputes made us reflect on the coexistence of communities. In addition, as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was announced, emphasizing the nurturing of democratic citizens wh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live together with a sense of community, we went one step further from the existing GCED under the new system, and reexamined educational goals and competencies to link with the new curriculum. It made us realize that specific and appropriate GCED wa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used ‘cultural diversity’(‘human rights’, ‘equality’, ‘world peace’) and ‘sustainable environment’(‘ecosystem’, ‘climate’, ‘sustainable resources’) as keywords to reconceptualize its meaning through a review of GCED and to propose a program for application to art subjects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ies,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Korean Art Curriculum, a total of 17 programs for each school level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so that the subtopics of each core keyword could be reflected in detail with a focus on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Since new art textbooks would not be fully applied in school until 2026, ideas for applying GCED to each subject we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erve as an idea for implementing GCED in art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
Ⅲ. 세계시민교육의 적용을 위한 미술과 내용 제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와 유아의 비판적 사고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영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관계 증진 훈련(CTRT)을 적용한 유아-교사 상호작용 중심 놀이지원역량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