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Metaverse on Motivation: by using Zepeto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홍가은 류재만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373~40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소재 J 초등학교 3학년 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행 연구이다. 효과적인 메타버스 활용 미술관 감상 활동을 위해 여러 메타버스 플랫폼 중 제페토를 선정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 동기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추출한 호기심, 보상, 자기 효능감이라는 동기 요소에 따라 연구 목적에 맞는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제페토를 활용하여 미술관 감상 활동을 하는 경우 호기심, 보상, 자기 효능감이 긍정적으로 유발되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생 중심 미술 감상 활동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창의적이고 올바른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rt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metaverse on motivation. For effective metaverse art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Zepeto was selected from among various metaverse platforms and used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curiosity, reward, and self-efficacy extrac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on learning motivation.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curiosity was aroused among the elements of motivation. Second, among the factors of motivation, compensation was effective in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Finally, among the factors of motivation, self-efficacy was induced.
Accordingly, it sugg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art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metaverse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learners to grow into cultural people who can enjoy creative and correct culture by inducing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center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적용 및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