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이용수 72
- 영문명
- Design of museum-based public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photovoic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나 손지현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337~37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주변 공공공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뮤지엄 경험을 연계한 공공디자인 교육을 통해 협력적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뮤지엄 교육과 관련된 개념을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두 곳의 전시관을 관람하고 포토보이스의 연구 절차와 공공디자인을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활동하였다. 포토보이스를 공공디자인과 관련지어 학생들이 주변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공공공간의 문제점을 발견하도록 하였다. 논의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새로운 공공디자인을 제시하고 공공디자인 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에 출품하여 사회적 관심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인의 뮤지엄 교육의 순환 과정에 따라 전시관과 연계하여 공공디자인을 탐구하고 아이디어를 활성화해 주변 공공공간의 문제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수집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주변 공공공간의 문제 인식 능력을 기르고 다양한 공공디자인 아이디어를 활성화하였으며 협력적 해결방안 제시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뮤지엄 교육과 연계해 학생들의 부족한 경험을 채워주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면 학생들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삶의 주인으로서 주체적인 시민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Photovoice to help students identify issues in their surrounding public spaces and propose collaborative solutions through integrated public design education linked with museums. To achieve thi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27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ed exhibition space where they can effectively experience concepts related to museum education and engaged in activities that combined the research process of Photovoice with public design. By connecting Photovoice with public desig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capture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surrounding public spaces through photographs and identify the problems within them. Through discussions, participants presented new public design ideas and submitted them to the National Public Design Idea Contest, aiming to increase social awareness. Furthermore, following the museum education cycle by integrating museums with public design, students were able to explore public design, activate ideas, and utilize them to solve problems in the surrounding public spac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nalyzed based on a comprehensive analytical process of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improved their ability to perceive issues in the surrounding public spaces and enhanced their capacity to propose various public design ideas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olutions. Therefore, if museums are linked to fill the experiential gaps and provide an environment for students to learn, i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students to develop an interest in social issues and grow as active citizens who take ownership of their l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프로그램의 실제
Ⅴ. 결과 분석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