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이용수 196
- 영문명
- Proposal for Digital Literacy in the Revised 2022 Art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Overseas Cas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 김영주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89~1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환경으로의 전환과 그에 따른 변화에 대한 대처를 강조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교육 현장에 도입됨에 따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교육 방향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지털 소양을 디지털 리터러시로 해석하여 2022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어떻게 접근하여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 아일랜드, 핀란드, 캐나다, 호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살펴보며 해외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후, 미국과 호주의 미디어 아트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며, 미술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해외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례를 통해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 세 가지 방식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미술과 내용 요소로 도입하고, 이를 학년 군별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영역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미술과 교육과정 영역 외에 별도의 영역이 신설되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미적 체험 영역에서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을 자세히 서술하고, 학생들의 일상 미디어 문화를 반영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후 세 번째의 방식으로 미적 체험 성취기준에서의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revised 2022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ing adaptation to the transition in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associated changes, digital literacy is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educational field;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igit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Consequently, this proposal aims to interpret the digital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as digital literacy and suggest approaches for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into the revised 2022 art education curriculum.
An explor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curricula in Ireland, Finland, Canada, and Australia was conducted to glean insights into the directionality of overseas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Subsequently, an examination of how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implemented in media art education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as conducted, exploring methods for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to art education.
Based on these international case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ee proposed approach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revised 2022 art education curriculum are outlined. First, it is suggested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be incorporated into art and content elements, deriving sub-domains of digital literacy for different grade levels. Seco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separate domain outside the existing art education curriculum areas for implemen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explored. Third, it is proposed to elaborate on the cont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within the realm of aesthetic experiences,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reflects students' everyday media culture. Following this third approach,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aesthetic experience achievement standards a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