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52
- 영문명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ization of art education on ink wash painting: Focusing on examples of literati painting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임장순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289~3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학생들의 한국화 수업을 위해 수묵화와 문인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수업 전략을 수립하고 수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묵화를 처음 접해보는 학생들을 위해 수묵화의 재료적 특성과 도구의 사용법을 영어로 설명하였고, 수묵으로 그려지는 문인화의 개념과 사생과 사의를 기반으로 하는 문인의 창작태도를 생각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직접 관찰한 풍경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고, 실제로 볼 수는 없지만 기억 속에 있는 관념적 풍경을 수묵의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제학생들이 서로 다른 지역과 문화의 경험에 기반한 문인화 작품을 제작해보고 이를 통해 타학생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어,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문인화의 핵심 명제인 소통과 공감을 할 수 있는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For the Korean painting clas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I set the teaching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rt education on ink wash painting and literati painting practice and analyzed the curriculum and teaching strategy. For the students who don’t have experiences with ink wash painting, the materiality of ink and paper and how to use the material were explained in simple and familiar English expressions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learned and experienced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with ink and its creative attitude based on observation and thoughts. Through these classes, students were able to produce the landscape they observed in person and the conceptual scenery in their memory using the Korean painting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international students could share their experiences of different cultures and thoughts through their work. Through the curriculum,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way of communication and ability of feeling empathy, which are the core of literati painting. With this research I could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ar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목차
Ⅰ. 연구 동기와 목적
Ⅱ. 국제학생을 위한 수묵화 교육의 필요성
Ⅲ. 국제학생의 수묵화 수업의 교육방법
Ⅳ. 국제학생들을 위한 수묵화와 문인화 수업의 사례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