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이용수 54
- 영문명
- Developing the training program of place-based education for art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희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311~3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 교육과정의 개정과 함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미술교사들이 예술, 삶, 교육을 연계하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을 교실 수준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미술교사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 삶, 교육을 연계하는 효과적인 교육 접근방법으로서 장소 기반 학습에 기초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교육프로그램은 장소 기반 학습의 개념과 원리에 관한 이론 강의 및 토론, 현장방문을 통한 실행학습, 장소 기반 미술수업 기획(안) 작성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실제 장소 경험을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의 사고와 표현을 다른 학습자들과 공유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질 장소 기반 학습을 직접 체험하고 내재화시킨다는 점, 그리고 장소 기반 미술교육의 실천원리에 따라 미술수업 기획(안)을 작성해 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실행가능성을 제고한 점 등이 본 연구의 의의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sign a re-education program for art teachers so that art teachers can implement art education for life that links art, life, and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basis of place-based learning as an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linking art, life, and education.
This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theoretical lectures and discussions on concepts and principles, action learning through field visits, and preparing the lesson plan of place-based learning. This study might be a great help to art teachers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action learning opportunity and the feasibility of place-based lesson plan.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only a draft program without applying this educational program to actual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장소 기반 미술교육과 실행학습
Ⅲ. 장소 기반 미술교육 수업전략
Ⅳ.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설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leF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 플랫폼의 적응적 기능 분석
-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른 학습 및 심리 특성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