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이용수 89
- 영문명
- Reconceptualization on Art Education: Art, Doing Art, The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지영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27~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미성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이 지향하는 방향성에 대한 탐색이라는 관점에서 미술교육의 개념을 ‘미술’, ‘미술하기’, ‘경험’을 통해 살펴본다. 미술은 인간다운 삶을 탐색하며 사회 혁신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개인과 사회에 공헌한다. 미술교육은 상상력과 사고력을 바탕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는 실기나 활동, 지식을 중시하는 교육과는 구별되는, 비판과 성찰을 바탕으로 자아 성장을 위한 삶을 위한 미술교육, 철학하기로서의 예술교육이다. 미술교육이 아름다움의 기술이나 인간교육을 위한 수단적 역할이라는 인식, 학교교육이라는 틀을 넘어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매우 중요한 경험이라는 것을 깨닫고 깨어 있음으로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방향에서 미술교육의 역할과 위상이 새롭게 정립되고 재개념화되어야 할 것이다. 작품의 의미를 드러내는 철학으로서 진선미의 통합으로서의 ‘미술’, 미술을 통한 체험과 철학하기로서의 ‘미술하기’, 그리고 이들의 심미적 과정으로서의 ‘경험’은 삶을 위한 새로운 예술교육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시대의 심미적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방향성 및 교육적 의미를 모색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xploring the direction that art education aims for, focusing on aesthetics. Art contributes to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at it explores human life and brings social innovation. Art education allows you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exploration and reflection based on imagination and thinking. This is art education for self-growth based on criticism and reflection, which is distinct from education that values practical skills, activities, and knowledge, and art education as philosophy. It becomes possibl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by realizing that art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experience for living as a human being beyond the framework of school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that art education is a skill of beauty or a instrumental role for human education. In this direction, the role and status of art education should be newly established and reconceptualized. Art as an integration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as a philosophy that reveals the meaning of ‘art’, ‘doing art' as an experience and philosophy through art, and ‘experience' as an aesthetic process move forward to new art education for life. In the process, the direction and educational meaning of art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in a new era are sought.
목차
Ⅰ. 서론
Ⅱ. 미술교육에서의 경험
Ⅲ. 미술교육에서의 ‘미술’과 ‘미술하기’
Ⅳ.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