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7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rt Media in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정 김종호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145~1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강조된 ‘매체 교육’에 주목하여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미술 매체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미술 매체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현상학적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을 분석한 결과, 미술 매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은 매체의 도구성,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매체, 인간 주체 중심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과 경험은 서로의 상관관계 속에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이러한 인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매체 교육의 목적, 방법, 내용, 효과, 미술 매체 탐구 수업의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미술 매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확장, 미술 매체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교과서를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개발, 미술 매체를 탐색할 수 있는 수업 시간 확보와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매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과서와 연계된 자료 개발 및 예비교사 교육과 같은 부분에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rt media through in-depth phenomenological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s, teachers recognized and experienced art media based on the instrumentality of the medium, the medium as a physical object, and human subject-centered thinking. From this, the following meaning was derived. Thes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were not only interrelated, but also had an impact on understanding the purpose, method, content, effectiveness, creativ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edia education. Furthermore,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became the basis for the difficulties of art media exploration classes centered on the instrumentality, material properties, and subjective human activities of art media and the demand for support to solve them. Based on the results and meaning of this analysis, it needs to exp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view art media only as instrumental physical object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various materials that can support textbooks, and to secure class time for exploration of art media.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media education program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linked to textbooks,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V. 종합 및 시사점
Ⅵ.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