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이용수 75
- 영문명
- Korean Art Education After the War from 1950s to 1960s and the Peabody Missionaries: Focusing on Primary Source Material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예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191~2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그간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으로, 특히 1950년대 한국전쟁 후 폐허가 된 상황에서 국제 교육 원조가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미술교육 분야에서는 피바디 사절단의 활동에 주목해왔으며 그들이 소개한 창조주의, 경험 중심 교육과정은 오늘날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 영향력에 비해 피바디 사절단에 대한 기록 및 기초 연구 자료가 부족한데,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피바디 사절단과 직접 교류했던 교육자 2인의 인터뷰와 당시의 외교문서와 교과서를 고찰하여 생생한 역사적 상황을 고찰하였다.
일제 시대에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언급은 있었지만, 임화중심 수업에서 창조주의, 경험중심 교육과정으로 변화하는 데에는 피바디 사절단의 세미나 및 교사 교육과 당시 교사들의 헌신적인 교과 연구가 있었기에 가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바디 사절단은 교육 관련 원조 활동뿐만 아니라 유학생 파견 및 미술 작품 교류를 시도하였고 미술 교사에게 미술 재료를 제공하는 등 미술계의 확장에도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피바디 사절단이 실시했던 구체적 활동들을 제시하는 역사적 연구로, 그들이 한국 미술 교육에 미친 영향을 재검토할 새로운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Korea's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s gaining global attention. This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efforts of experts in the field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over the years,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in the 1950s when the country was left in ruins, and international educational ai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of the Peabody Mission have been highlighted, and their introduction of creative, experiential-centered curricula continues to have an impact to this day.
However, despite their influence, there is a lack of records and foundational research materials about them. In such a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wo educators who had direct interactions with the Peabody Mission and analyzing documents from that time, including diplomatic documents and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there were mentions of creative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ransformation from a rote learning-centered curriculum to a creative, experiential-centered one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Peabody Mission's seminars and teacher training, as well as the dedicated curriculum research by teachers at that time.
Furthermore, the Peabody Mission not only engaged in educational aid activities but also attempted to send exchange students and facilitate art exchanges. They provided art materials to art teacher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art community. This study serves as a historical research that presents the specific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Peabody Mission, and it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new information to reevaluate their impact on South Korean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재건기의 교육과 피바디 사절단
Ⅲ. 피바디 사절단과 재건기 미술교육의 변화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