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72
- 영문명
- Effects of Recycled Fabric Group Art on Creativity and Socia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Gender-Dependent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Lee,Diane Youngmi 윤효운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5집, 405~4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창의성 및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영재 육성, 일반 아동의 역량강화, 학습부진 아동의 재활 등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 특별활동을 통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남녀 학생들이며, 재활용 미술활동을 하는 실험집단과 정규 미술 수업을 받는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창의성은 ‘초등도형창의성검사’로, 사회성은 ‘초등사회성검사’로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검사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후에 실험집단에서 창의성이 향상되었는데,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유의하게 창의성 지수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매체에 따라 재활용 미술치료의 창의성 향상 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섬유매체는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흥미를 유발하는 우수한 재료라고 사료된다. 한편, 사회성 지수는 사후에 여아에서만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재활용 미술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Creativity and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s can be widely used to educate gifted children,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ordinary children, and to rehabilitate children with a low ability of learn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recycled fabric group ar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group art activitie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regular art classes. Creativity and sociality were evaluated as an elementary creativity test and an elementary sociality test, respectively. These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reativity indices in both boys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recycled art. The creativity-improving effect of the recycled art therapy seems to depend on the kinds of recycled materials, so fabrics were considered to be excellent materials that attract interest in both boys and girls. On the other hand, the sociality indices rose significantly only in girls after the recycled art. Therefore, a new program to improve the sociality of boys remains to be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야누스적 사고(Janusian thinking)를 통해 살펴본 피카소의 창의적인 작품의 심리적 이해
- 재건기의 미술교육과 피바디 사절단의 영향: 1차 자료를 중심으로
- 하브루타 교육을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미술 감상 수업 방안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 미술하기, 경험
-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동기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제페토를 활용하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뮤지엄 연계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구안
- 미술교육에서 미술 매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 탐색과 미술 교과서 구성 방안
- 섬유 재활용 집단미술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장소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실행학습 프로그램 설계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국제화 가능성 탐색: 문인화 창작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설계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탐험적 연구
- 세계시민교육 다시보기를 통한 미술과 프로그램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 학습모형의 개발과 실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