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자존감 및 건강에 관한 경로분석
이용수 101
- 영문명
- An Analysis of Pathways on the Housing Environment, Self-esteem, and Health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ver 45 years of age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정은희 이현주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13권 제2호, 235~2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건강의 관계가 자존감의 매개 과정을 통해 설명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7-15차 연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은 시간이 지나며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모두 고려했을 때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존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령 장애인에서는 자가소유가 아니면서, 부적절한 주거환경이 더 오래 지속되었을 경우에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지고 이를 매개로 하여 우울 수준과 건강 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환경이 중고령 장애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이 중요한 과정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제안 및 주거환경 지원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environment and health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ver 45 years of age is explained through the mediating process of self-esteem.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7th-15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housing condi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ged 45 years and older has been improved during past 9 years. Second, considering all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ver 45 years of age, the direct effect of the housing environment on health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other words, if the inappropriate housing environment persists for a longer tim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middle and older age, it leads to low self-esteem, and through this, i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basis that self-esteem can be explained as an important mediator in the impact of the housing environment on the health of the disabled people in middle and older age was examined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논의
1.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건강
2. 주거와 자존감 및 건강의 경로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변수의 측정
3. 자료 분석 방법 및 결측치 처리
IV.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 측정모형 분석
3. 구조모형 분석
4. 간접효과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호필요아동의 권리적 측면에 대한 소고 :출생등록될 권리를 중심으로
- 기본권으로서 돌봄에 대한 고찰 : 돌봄 환경 변화에 따른 돌봄기본법 제정 필요의 관점으로
- 스마트 도시와 정의의 문제에 관한 소고
-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관련 법률 분석과 향후 과제 - 장애인 이동권 관련 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 국가인권위원회 각하 결정례 분석 : 국민의 사회권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 관련 법제 및 판례(사례)에 대한 소고
- 세계의 자원봉사 입법 동향 고찰
- 사회복지법제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 최승원 교수의 사회복지법제 연구를 기초로 하여 -
- 인공지능(AI)과 사회복지법제에 대한 소고
-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자존감 및 건강에 관한 경로분석
-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법률 및 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권 실현을 위한 공공복지포털의 지향점 - ‘복지로’를 중심으로 -
-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 분석 - 서울특별시 25개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 이후 법제의 변화와 과제
- 시설거주 장애아동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률 개정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