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이다해 이성규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7호, 5~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8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참여자의 자살생각 비율은 17.5%였다. 둘째, 남성 장애인의 자살생각 비율은 16.8%이고, 여성 장애인의 자살생각 비율은 18.2%로 여성 장애인의 자살생각 비율이 다소 높았다. 셋째, 회귀분석결과, 장애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우울, 삶의 만족도, 외출횟수가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주거형태, 흡연은 남성 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여성 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장애인 1인 가구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 실천, 장애인 1인 가구 실태조사와 자살예방을 위한 서비스 개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복지정책 수립 등의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with a focus on comparing gender differences.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the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analyzing a total of 1,809 ca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proportion of study participants reporting suicidal ideation was 17.5%. Second, the proportion of suicidal ideation among male participants was 16.8%, while it was 18.2% among female participants, indicating a slightly higher prevalence among female participants.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verity of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smok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frequency of outings significan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depression, housing type, and smoking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male participants, whereas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ignifican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among female participa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conducting surveys on the living conditions of such households, designing suicidal prevention services, and formulating welfare policies aimed at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s.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