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량 변화가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The Impact of Changes in Digital Information Service Usage Post COVID-19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문영민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7호, 265~29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상황에서 장애인의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이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 중 장애인 집단 2,199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검증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 변화량에 있어 장애인 집단 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여성, 노인, 저학력자, 비경제활동인구의 변화량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 효과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자본을 투입하였을 때 매개변수의 영향만이 유의하여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애인의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에서의 격차를 줄이고, 사회적 자본 축적을 통해 사회참여를 강화하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도록 하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increased digital information service usag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 COVID-19 pandemic on their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ediational role of social capital. To achieve this, a sample of 2,199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s drawn from the 2022 Digital Divide Survey data. The Baron and Kenny (1986)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Firstly, an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post-COVID-19 digital information service usage changes among different group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vealed that the change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women, the elderly, those with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s. Secondly, digital information service usage showe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when social capital was introduced, only the influence of mediators was significant, indicating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are made to reduce disparities in digitaliza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enhance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service utilization, and improve overall life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문헌 검토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영민. (2025).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량 변화가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 265-291

MLA

문영민.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량 변화가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025): 265-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