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of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수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7호, 59~8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를 탐색하고, 재난안전교육 경험 누적 횟수와 재난대응수행의 단일 관계에서 사회관계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인삶 패널조사(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1~4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과 재난대응수행 변화 발달궤적을 살펴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MLGM)을, 조절효과(사회관계망)를 살펴보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1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의 발달궤적 간의 관계에서 재난안전교육 경험의 초깃값은 재난대응수행 초깃값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재난안전교육 경험의 초깃값은 재난대응수행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난안전교육 경험의 변화율은 재난대응수행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난안전교육과 재난대응수행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동거 가족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지인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대응수행 수준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s and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among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Additionally, it examined whether social networks play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number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s and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first to fourth waves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were utilize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the Latent Growth Model,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d Process Macro Model 1. The key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itial level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level of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However, the initial level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Meanwhile, the rate of change in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Lastly, in analyzing moderating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ereas the number of acquaintanc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enhance the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of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and Societal Norms in the Context of Korean Compressed Modernization
- 정신의료기관 입원 중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가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 학대와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서비스의 매개 효과 분석
-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수행기관 평가지표의 구성 및 내용 탐색 연구 :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강압적 통제행위에 관한 성인기 신체적 장애인 당사자의 경험 연구
- 장애인 탈시설 연구 동향 분석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서비스 이용량 변화가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체장애인의 삶의 궤적 : 한 근육장애인의 저항과 순응의 순환적 변주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사회복지분야 실천가의 경계선 지능인 지원 경험
- 발달장애인 정책과 지원인력은 동반 성장하고 있는가? : 지원인력의 인적자원 개발 정책 현안과 과제
- AI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에 대한 일반학교 시각장애인 교사의 인식과 도전과제
-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에서의 애로사항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인 부모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