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수행기관 평가지표의 구성 및 내용 탐색 연구 :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Agency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Workplace : an Expert Panel Delphi Survey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김원호 이현정 금창민 박지석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7호, 179~21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수행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관리체계의 하나로서, 수행기관 평가지표 구성체계를 탐색하고 그 내용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5년 이상인 학계 및 현장 전문가 14명을 전문가 패널로 구성하여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수행기관 평가지표 구성체계로 ‘수행기관의 전문성’, ‘사업수행의 적절성’, ‘사업성과’, ‘감점 및 가점’의 4개 상위영역과 10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수행기관의 전문성’ 영역은 ‘사업 운영의 전문성’과 ‘예산 운영의 전문성’ 2개의 하위영역이, ‘사업 운영의 적절성’ 영역은 ‘근로지원인 모집 및 관리’, ‘근로지원인 매칭’,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모니터링’, ‘근로지원인의 전문적 서비스 정도’ 4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사업성과’ 영역은 ‘근로지원인 지원사업의 성과’, ‘지역사회 환류’ 2개의 하위영역이, ‘감점과 가점’ 영역은 ‘감점’과 ‘가점’ 2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각 하위영역별 세부 평가지표가 도출되었으며, 의견이 합의되지 않은 지표에 대해 논의하였다. 장애인 근로지원인 사업은 지난 15여년 동안 양적인 확대를 이루어왔다. 향후 장애인 근로자가 최대한 동일하게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수행기관 간의 격차를 줄이고, 상향평준화를 이끄는 장치로서 수행기관에 대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composition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 system of the implementing organization as part of the management system to promote the overall quality improvement of the worker support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with an expert panel of 14 academics and field experts with at least five years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er support busin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first, 4 major factors and 10 sub-factors were derived as a system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worker assistance agencies, including 'expertise of the implementing agency', 'appropriateness of conducting business', 'business performance', and 'deductions and additions'. Secondly, the 'expertise of the implementing agency' category has two subcategories: 'expertise in business operation' and 'adequacy of budget oper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nducting business' category has four subcategories: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work supporters', 'match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to job supports', 'monitoring the worker support business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worker provides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business performance” category, two subcategories were derived: “outcomes of the worker support business” and “community return”, and two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penalties and extra points”: “penalties” and “extra points”. Third,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for each subcategory, and indicators that were not agreed upon were discussed. The disabled worker support business has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over the past 15 year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n evaluation system for implementing agencies as a device to reduce the gap between implementing agencies and lead upward standardization so that workers with disabilities can receive the same quality services as much as possibl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호,이현정,금창민,박지석. (2025).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수행기관 평가지표의 구성 및 내용 탐색 연구 :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 179-210

MLA

김원호,이현정,금창민,박지석.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 수행기관 평가지표의 구성 및 내용 탐색 연구 :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025): 179-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