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호필요아동의 권리적 측면에 대한 소고 :출생등록될 권리를 중심으로
이용수 255
- 영문명
- A study about the rights of children at risk :With the right to be registered as a birth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최윤경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13권 제2호, 149~1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태어난 아동은 태어난 즉시 ‘출생등록될 권리’를 가지며, 이러한 권리는 ‘법 앞에 인간으로 인정받을 권리’로서 모든 기본권 보장의 전제가 되는 기본권이므로 법률로써도 이를 제한하거나 침해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출생미등록 아동이 발생하는 현행 출생신고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또한 출생미등록 아동이 발생하는 원인을 베이비박스 유기, 혼인 외 출산, 미혼부 출생신고, 의료기관 외 출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부모 특히 친모의 신고에 의지하고 있는 현행 출생신고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출생미등록 아동의 발견 이후에 관계 부처의 분절적인 체계와 수집되는 데이터의 상이함 등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아동의 출생 등록될 권리의 제도적 보장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법무부의 출생통보제(안)을 검토하고, 임신출산에 대한 통합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데이터 연계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임신과 출생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관리 체계 안에는 출생신고 혹은 등록에 대한 관리 뿐 아니라 임신갈등상태의 임신부에 대한 지원과 상담, 출산 이후 양육선택 상황에 대한 상담과 지원, 양육 시 필요한 사회복지자원의 연계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아동의 측면에서는 출산 이후 양육을 포기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아동보호체계와 연계하여 출생등록, 보호조치, 후견인 선임 등의 절차가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비밀출산의 도입 필요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비밀출산이 함께 도입되지 않는다면 도리어 아동의 권리가 보장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 조정하는 방안을 고민하며 나아가야하며, 제도개선과 함께 정상가족 중심의 가족제도에 대한 인식을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birth registration system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guarantees of children's right to birth registration. To this end, under the current birth registration system, the causes of omission in birth registration were examined, and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surroun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was not established.
Furthermore,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guarantee of children's right to birth and registration, the Ministry of Justice's birth notification system (draft)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was reviewed,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system for childbirth and data linkage was discussed.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n anonymous birth was proposed because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 rights of children and the rights of mothers in a normative manner was proposed.
목차
I. 출생등록될 권리와 출생미등록 실태
1. 출생등록될 권리
2. 출생미등록 아동 실태
II. 현행 출생신고제도의 문제
1. 출생미등록 아동 발생 원인 및 문제
2. 출생미등록 아동 발견 이후의 문제
3. 소결
Ⅲ. 아동의 출생 등록될 권리의 제도적 보장 가능성
1. 출생통보제
2. 임신출산에 대한 통합적 시스템 구축
3. 관련 데이터의 연계 가능성 검토
4. 규범조화적 접근으로서의 비밀출산 도입 필요
IV.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호필요아동의 권리적 측면에 대한 소고 :출생등록될 권리를 중심으로
- 기본권으로서 돌봄에 대한 고찰 : 돌봄 환경 변화에 따른 돌봄기본법 제정 필요의 관점으로
- 스마트 도시와 정의의 문제에 관한 소고
-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관련 법률 분석과 향후 과제 - 장애인 이동권 관련 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 국가인권위원회 각하 결정례 분석 : 국민의 사회권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 관련 법제 및 판례(사례)에 대한 소고
- 세계의 자원봉사 입법 동향 고찰
- 사회복지법제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 최승원 교수의 사회복지법제 연구를 기초로 하여 -
- 인공지능(AI)과 사회복지법제에 대한 소고
-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자존감 및 건강에 관한 경로분석
-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법률 및 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권 실현을 위한 공공복지포털의 지향점 - ‘복지로’를 중심으로 -
-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 분석 - 서울특별시 25개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 이후 법제의 변화와 과제
- 시설거주 장애아동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률 개정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