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관련 법률 분석과 향후 과제 - 장애인 이동권 관련 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741
- 영문명
- Analysis of Laws Related to improve of Right to move of the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nd Future Tasks - Focusing on Analysis of the disabled Relations Legislation System -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문영임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13권 제2호, 213~2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사회구성원 누구나 이동의 자유, 이동권을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면 자신의 의지대로 사회생활을 할 수 없으며, 균등한 교육 및 사회참여의 기회 보장, 서비스 수급권을 실질적으로 보장받을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과 관련된 문제의식 및 이에 따른 다양한 논의는 특히 장애인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장애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관련 법률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정책의 집행은 법·제도의 수립으로부터 시작되는 관계로 해당 정책의 실질적 집행 근거인 법령을 바탕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즉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한 사람중심의 교통복지 정책 중 이동권 보장에 대한 정책의 내용 및 실효성, 이에 따른 한계점 등을 관련 법령 검토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령에 명시되어 있는 임의조항의 개정, 법률 상호간 관장하고 있는 내용의 명확한 통합 및 분리, 정책 수립 과정에서의 교통약자 당사자의 직접적인 참여 제고, 운송사업자의 차량 개선조치와 관련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에서만 그친 한계를 가진다. 이에 차후에는 현실적인 실태 및 당사자 욕구 조사를 통해 본 연구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영문 초록
For humans, freedom of movement and the right to move are very important in realizing basic rights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The issue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move in Korea was mainly argued by the disabled, But today, it has come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for all the so-called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who have difficulty in movement, such as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in addition to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ws related to the right to move for the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nd to discuss the current system of welfare policy and its future direction.
Especially,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begins with the establish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the practical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hrough a review of the law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 policy on guaranteeing the right to move for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were analyzed and future policy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it need to revise arbitrary clauses in the relevant laws, clearly integrate and separate the contents of controlled by mutual legal relationship, enhance direct participation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support the government's budget about vehicle Improvement Measures by Transportation Business Operator. This study has limitations only in the literature study. In the future, we intend to develop this research through realistic desire survey.
목차
I. 서론
II. 교통약자의 이동권 개념 및 정책 현황
1. 교통약자와 이동권 개념
2. 국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정책
3.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관련 선행연구 분석
III. 관련 법률 분석
1. 헌법
2. 장애인등편의증진법
3.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4. 장애인차별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5.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6 소결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호필요아동의 권리적 측면에 대한 소고 :출생등록될 권리를 중심으로
- 기본권으로서 돌봄에 대한 고찰 : 돌봄 환경 변화에 따른 돌봄기본법 제정 필요의 관점으로
- 스마트 도시와 정의의 문제에 관한 소고
-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관련 법률 분석과 향후 과제 - 장애인 이동권 관련 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 국가인권위원회 각하 결정례 분석 : 국민의 사회권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 관련 법제 및 판례(사례)에 대한 소고
- 세계의 자원봉사 입법 동향 고찰
- 사회복지법제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 최승원 교수의 사회복지법제 연구를 기초로 하여 -
- 인공지능(AI)과 사회복지법제에 대한 소고
- 중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자존감 및 건강에 관한 경로분석
-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법률 및 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권 실현을 위한 공공복지포털의 지향점 - ‘복지로’를 중심으로 -
-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 분석 - 서울특별시 25개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 이후 법제의 변화와 과제
- 시설거주 장애아동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률 개정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