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이용수 917
- 영문명
- Exploring the Implication of Leum Education: An Analysis of Transitional Direction and Support Cases in Other Countrie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호(Kim, Ho) 장혜진(Jang, Hyeji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245~2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 및 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이음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국가별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 및 지원 사례는 각 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교육에 대한 접근방법에 따라 다르다. 해외에서는 연계에 관한 관심이 높고 구조적 조건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이음교육에서 초점을 두고자 하는 학습자 경험의 연속성과 유아의 자율성, 관점 및 권리를 먼저 받아들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이음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연구를 위해 선정한 국가는 5개국인 영국, 핀란드, 캐나다, 호주와 뉴질랜드이며 연구를 위해 분석한 자료는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이음교육에 대한 정책이나 사례를 담고 있는 국가 및 주(state) 수준의 공식적인 문서만을 포함하였다. 연계교육의 방향과 지원 사례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학습목적 도달 평가와 교육과정 내 이음교육을 계획하는 영국, 일관된 교육과정 안에서 영유아의 관점과 참여를 강조하는 핀란드, 교육과정과 물리적 공간을 연결하는 캐나다, 유아 역량 준비와 다양한 유아의 요구를 준비하는 호주, 이음을 총체적인 과정으로 인식하여 협력하는 뉴질랜드로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음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이음교육의 원리인 계속성, 연결성, 협력성, 다양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Leum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direction and support cases of transitions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and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abroad. These direction and support cases vary depending on sociocultural context and approach to education. Countries abroad have expressed more interest in the transition and have established the structural conditions for it. Moreover, they considered the continuity of learners’ experiences and children’s autonomy, perspectives, and rights, which are the focus of Leum education. Five countries—the United Kingdom (UK), Finland, Canada, Australia, andNew Zealand—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tudy data included only the curriculum and official documents at the national (state) level. Findings showed that the UK evaluates children’s achievement based on learning goals and plans a transition within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Meanwhile, Finland emphasizes children’s perspective and participation in a consistent curriculum. In addition, Canada connects the curriculum and the physical space. Moreover, Australia prepares children’s competencies and diverse needs. Finally, New Zealand recognizes the transition as a holistic process and promotes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Leum education were observed in terms of its principles of continuity, connectivity, cooperation, and d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 및 지원 사례 탐색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