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이용수 195
- 영문명
- The Meaning of Handwork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raft as a Tool of Social Practice in Elementary Craft Educ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안금희(Ahn, Keum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91~1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작업이 갖는 공예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며 사회적 소통과 실천으로서 공예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교과서의 공예 영역의 분석과 대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예가 지닌 수작업의 의미를 살펴보고, 크래프티비즘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소통과 실천 사례를 고찰하였다. 초등 공예 교육이 재료와 제작 방법을 익히는 기능 중심의 공예 교육,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공예 교육 그리고 전통 공예와 여러 나라의 공예를 중심으로 한 미술 문화 이해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예 활동이 지닌 교육적 의의를 수작업의 가치와 즐거움 및 주체자로서 학생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재료와 제작 방법 중심과 실용성과 아름다움 위주의 공예 교육에서 벗어나서 사회적 소통과 실천으로서 공예 교육의 확장된 관점을 제안하였다. 학교의 공예 교육은 학생들의 삶과 연관지으며 역동적인 공예의 새로운 역할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handwork, examines the meaning of craft education as social communication and practice,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art textbook, and proposes alternatives. The meaning of handwork in crafts was examined, and various social communication and practices such as craftivism were discussed. Through this analysis, the current craft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function-oriented craft education that learns materials and making methods, craft education that pursues practicality and beauty,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centered on craft culture in various countries.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raft activities was emphasized on the value and enjoyment of handcraft work, and the role of students as subjects. Furthermore, an expanded perspective of craft education was proposed as a social communication and practice, away from craft education centered o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and focused on practicality and beauty. The school craft education should be related to the lives of students and should reflect the new role of dynamic craft.
목차
Ⅰ. 서 론
Ⅱ. 공예의 교육적 의미
Ⅲ. 초등학교 공예 단원 분석과 대안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