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용수 344

영문명
Critical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formatiz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기범(Park, Kee-burm)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49~6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돼있는 정보화 관련 내용 및 구성을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사회에서 바람직한 가치에 기반하여 사회 현상을 바르게 이해하는 소비적 소양과 효과적으로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생산적 소양을 포괄하는 기본 소양이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에 따르면, 디지털 리터러시의 속성은 윤리, 소비, 생산 차원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범주별 세부 리터러시를 설정하면, 첫째, 디지털 윤리와 감성 차원에서 설명 책임, 디지털 감수성, 공감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회에서 시민의 생산과 소비 활동은 정보 감수성과 공감에 기반한 설명 책임이 요구된다. 둘째, 디지털 소비 차원에서, 시민은 상황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유연한 편향성 기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는 문제 상황에서 자동화되어 나타나기보다는 ‘내가 편향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유연한 편향성이 작동할 때 발현된다. 셋째, 디지털 생산 차원에서, 연결(connection)에 기반한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다. 시민이 문제 상황을 바르게 읽고 해석하여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출하려면 다양한 정보의 연결이 필수적이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분석 관점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정보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련한 세부 리터러시를 제시하여 교재 구성의 방향을 명료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세부 리터러시를 핵심 학습 요소로 설정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사회과교육은 디지털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교수 내용과 활동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속성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속성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새롭게 공포되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체제의 장점을 살려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핵심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nceptua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digital literacy and to critically analyze the informatization-related contents and composition presented by the exist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literacy. Digital literacy is a basic skill requir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based on desirable values in a digital society. Furthermore, this skill is categorized into ethical, consumption, and production dimensions. When setting detailed literacy for each category, first, accountability, digital sensitivity, and empathy are required in terms of digital ethics and emotion. In the digital society, citizen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require accountability based on information sensitivity and empathy. Second, in digital consumption, citizens need critical thinking based on flexible bias that can objectively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situation. Critical thinking is manifested when flexible bias works as a mindset that can be biased rather than appearing automatically in problematic situations. Third, in digital production, creative thinking based on connection is required. The connection of various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citizens to correctly read and interpret problematic situations to generate creative ideas.The results of critically analyzing the informatization-related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newly defined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re as follows:First, the curriculum needs to clearly guide the direction of the textbook structure by presenting detailed literacy related to digital literacy. Second,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focusing on detailed literacy that constitutes digital literacy.Social studies education does not provide in-depth teaching activities on social problems occurring in the digital society because the properties constituting digital literacy could not be derived through logical categorization. For this reason, detailed literacy could not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erefore, curriculum and textbooks need to reflect detailed literac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ategorization in textbooks.

목차

Ⅰ. 서 론
Ⅱ. 디지털 리터러시의 의미와 필요성
Ⅲ.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비판적 분석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범(Park, Kee-burm). (2022).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교육논총, 42 (4), 49-60

MLA

박기범(Park, Kee-burm).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교육논총, 42.4(2022): 4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