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이용수 53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ponding the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신현우(Shin, Hyun-Woo) 김완수(Kim, Wan-Su) 강희원(Kang, Hee-Wo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213~2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나타난 국가·사회적 요구에 대한 고찰 과정을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 국가·사회적 요구가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국가·사회적 요구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이전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총론의 국가·사회적 요구를 교과에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살펴보면서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서 디지털 소양교육, 생태전환교육, 시민교육의 세 가지 국가·사회적 요구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분석하며 교과의 성격과 추구하는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ways of responding to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in order for the new curriculum to successfully settle in the field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show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and curriculum proposal. As such,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in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investigated. Also, the ways of responding to the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of general guidelines in the previous moral curricula were looked into.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the processes of dealing the three national and socialrequirement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in the moral curriculum proposal were analyzed, and a direction that fits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the concept pursued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내용 분석
Ⅲ. 시안에 반영된 국가⋅사회적 요구 분석
Ⅳ. 시안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