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이용수 65
- 영문명
-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Revealed in the Metaphor of the Role of Teachers in Science Classe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여상인(Yeo, Sang-Ih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229~2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역할에 대한 은유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167명의 예비 초등교사에게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은유해 보도록 하는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가 지닌 교수유형 빈도를 분석한 결과 교사 중심의 교수유형의 비율(66.5%)이 학생 중심의 교수유형의 비율(33.5%)보다 높았다. 둘째, 교수유형별 은유에서 드러난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이라는 교수신념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 중심의 교수유형인 전문가, 권위자, 역할 모델 유형에서 초등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과학지식에 대해 잘 이해하고, 학습자에게 정확한 과학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수업 기술에 대한 전문성이 있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 그리고 교사는 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수업 준비를 완벽하게 해야 하며,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을 보였다. 그리고 학생 중심의 교수유형인 촉진자와 위임자 유형에서는 학생들이 탐구활동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기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과 교사는 최소한의 조력자 역할만 하고 학생 스스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교수신념 인식을 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유형별 초등 예비교사의 내적 신념을 고려하여 초등 예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생 중심 교수유형 신념을 강화하거나 예비교사의 개별적 교수유형에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지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etaphors of the teachers' role in science clas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teaching styl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6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express metaphorically the teacher's role in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tyle, the rate of teacher-centered teaching type (66.5%)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centered teaching type (33.5%). Second, in the teacher-centered teaching styl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conveying accurate scientific knowledge to learners, having expertise in teaching skills, and preparing for classes with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style, the teachers recognized the teaching belief of encouraging students to learn on their own through inquiry activities and of scaffolding, in which teachers act as minimal assist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idering the internal beliefs of pre-service teachers by pedagogy, the need to strengthen the belief in student-centered teaching styles or to teach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