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이용수 62
- 영문명
- Analysis of Action Research Contents in Art Classe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정희(Kim, Jeung 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77~9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현장 연구(action research)의 지향점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10년간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현장 연구 논문의 내용을 분석했다.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에 발표된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논문을 내용별로 분류하면 미술과 수업의 교수-학습 방법, 미술과 수업에서 표현 매체, 미술과 교육과정의 실천, 미술과 수업의 효과, 미술과 수업 컨설팅, 미술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의식, 교사 교육 현장의 현상 등으로 구분된다. 미술과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현장 연구의 내용 대부분은 적용 가능성과 일반화에 주목하고, 교사의 의식과 교사 교육 관련한 현장 연구의 내용은 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의식의 변화에 집중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의 미술 수업 개선과 교사 양성 기관의 교사 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ction research trend in art classes. The trend of action research in art classes is classified under seven categories. These include teaching method, expression medium, realization of curriculum, effectiveness, consultancy,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art classes, and phenomenon in teacher education. The most part of action research in art classes answered questions on how art classes might be improved and focused on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gener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action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art teachers and phenomenon in teacher education mainly concentrated on identity formation and change of awareness in a discussion.
목차
Ⅰ. 서 론
Ⅱ. 현장 연구의 의미와 지향점
Ⅲ. 미술 수업 관련 현장 연구의 내용 분석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