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86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ocess of Promoting School Media Education Policy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정현선(Jeong, Hyeon-Seon) 장은주(Jang, Eun-Ju) 김아미(Kim, Amie) 윤미(Yoon, Mi)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127~1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과 전략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주요 준거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미디어교육 정책 실행 과정을 분석하고,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안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별 미디어교육 관련 조례와 주요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은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를 아우르는 융복합적인 성격을 갖고 추진되어야 하나, 현재 정책 문서에서는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비전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중앙 부처와 시도교육청 간 협력 체계가 불명료하며 시도교육청 간 인적 및 물적 자원의 격차, 정보 교류 부족 등으로 인해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 educati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ovincial offices based on UNESCO’s Media Information Literacy Policy and Strategic Guidelines and discuss the measures necessary for stably promoting media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media education ordinances and major policy statuses issued by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policy managers. Findings showed that school media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promoted with a convergent nature that covers media literacy,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However, the current policy document lacks the vision to achieve the essential goals of school media education, and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central ministry and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s unclear. Promoting school media education policies is a challenge owing to the gap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mong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lack of information shar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