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이용수 142
- 영문명
- The Change of 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ing AI Speak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기도근(Ki, Dokeun) 한선관(Han, SeonKwa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지능 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교육 현장에서도 AI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AI 기술 중 하나인 AI 스피커를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활용해보고 사전-사후 설문조사 및 참여관찰, 심층 면접을 통하여 AI 인식에 대한 변화를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은 AI 스피커의 유용성과 용이성을 느꼈으며, AI 기술에 대한 지속적 이용 의지가 신장 되었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AI 스피커를 이용하는 것은 학생들의 AI 기술에 대한 수용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으며 생활 전반에 걸쳐 학생들이 다양한 AI 기술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revious research revealed that many of the students are unfamiliar with AI, fear it, or do not know the concept of AI itself. In this study, AI speakers, one of the currently commercialized AI technologies, were used by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changes in AI acceptance were studied through pre- and post-surve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using AI speakers throughout school life for 100 days, students felt the usefulness and ease of the AI speaker, and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AI technology was augmen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use of AI speakers in the educational field can be seen to have positively changed students' acceptance of AI technology, suggesting that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various AI technologies throughout their lives.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 연구
Ⅲ. 연구의 내용
Ⅳ. 연구의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