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이용수 48
- 영문명
- PETE Lead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Reform for School-based Phys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tandards or Standardiz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오정환(Oh, Jung-Hwan) 박석(Park, Sok)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13~2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조사는 미국의 학교체육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원양성 지도자들의 견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네 가지 유형의 미 대학으로부터 체육교육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27인의 대학 교수자들이 공식, 그리고 비공식 면담에 참여하기 위해 유목적적으로 표집되었다. 귀납 분석된 구술면담자료는 기존 문헌과 통합적 학교개혁모형의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연역적으로 검증 및 재해석되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폭넓은 의미로 명시된 체육교과 학습표준은 지역 자율권과 지방 자치를 활성화시켰던 반면에 전국을 가로질러 이질적인 수많은 표준학습프로그램의 만연을 초래하였다. 학교체육이 교과목 사이에서 적절한 교과로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범위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지역 수용력이 결여된 획일적인 국가교육과정은 사회문화적 이질성과 지역적 다양성의 관점에서 그리 바람직한 개혁으로 보이지 않는다. 표준적 지식의 권력 재생산, 그리고 국가개혁에 대한 지역 독립체들의 반감 및 저항 등의 이념적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다. 획일화 전략을 통한 학교체육 교육과정의 완전한 표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현행 표준학습모델의 점진적인 개정을 통해 체육교과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체육교과 교육과정은 지역 수용적이고 개별 학습자의 문화 및 요구와 기호를 바탕으로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 educators on reform directions for the P-12 P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 total of purposefully selected 27 faculty leaders from four different types of universities/colleges participated in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The verbatim data inductively analyzed were deductively test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the theoretical model of systemic school reform. The themes that emerged indicated flexible PE standards allowed for local autonomy while it also created a number of disparate standards-learning programs throughout the nation. Extensive reform for PE is needed to sustain security as a relevant subject in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a rigid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seem to be advisable in the US educational context in light of sociocultural disparities and regional diversity. It would produce ideological issues such as a hegemony of official knowledge and the anti-federal sentiment and resistance of local schools and teachers to reform. Curriculum reform for P-12 PE would need to be initiated through light touch revisions of the current standards-learning model but not a standardized change for curricula. PE curricular must be socioculturally responsive, locally flexible, and tailored for pupils' needs and interes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근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