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이용수 46

영문명
PETE Lead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Reform for School-based Phys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tandards or Standardization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오정환(Oh, Jung-Hwan) 박석(Park, Sok)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13~2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조사는 미국의 학교체육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원양성 지도자들의 견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네 가지 유형의 미 대학으로부터 체육교육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27인의 대학 교수자들이 공식, 그리고 비공식 면담에 참여하기 위해 유목적적으로 표집되었다. 귀납 분석된 구술면담자료는 기존 문헌과 통합적 학교개혁모형의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연역적으로 검증 및 재해석되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폭넓은 의미로 명시된 체육교과 학습표준은 지역 자율권과 지방 자치를 활성화시켰던 반면에 전국을 가로질러 이질적인 수많은 표준학습프로그램의 만연을 초래하였다. 학교체육이 교과목 사이에서 적절한 교과로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범위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지역 수용력이 결여된 획일적인 국가교육과정은 사회문화적 이질성과 지역적 다양성의 관점에서 그리 바람직한 개혁으로 보이지 않는다. 표준적 지식의 권력 재생산, 그리고 국가개혁에 대한 지역 독립체들의 반감 및 저항 등의 이념적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다. 획일화 전략을 통한 학교체육 교육과정의 완전한 표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현행 표준학습모델의 점진적인 개정을 통해 체육교과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체육교과 교육과정은 지역 수용적이고 개별 학습자의 문화 및 요구와 기호를 바탕으로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 educators on reform directions for the P-12 P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 total of purposefully selected 27 faculty leaders from four different types of universities/colleges participated in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The verbatim data inductively analyzed were deductively test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the theoretical model of systemic school reform. The themes that emerged indicated flexible PE standards allowed for local autonomy while it also created a number of disparate standards-learning programs throughout the nation. Extensive reform for PE is needed to sustain security as a relevant subject in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a rigid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seem to be advisable in the US educational context in light of sociocultural disparities and regional diversity. It would produce ideological issues such as a hegemony of official knowledge and the anti-federal sentiment and resistance of local schools and teachers to reform. Curriculum reform for P-12 PE would need to be initiated through light touch revisions of the current standards-learning model but not a standardized change for curricula. PE curricular must be socioculturally responsive, locally flexible, and tailored for pupils' needs and interes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근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정환(Oh, Jung-Hwan),박석(Park, Sok). (2022).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교육논총, 42 (4), 13-29

MLA

오정환(Oh, Jung-Hwan),박석(Park, Sok).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교육논총, 42.4(2022): 13-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