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이용수 72
- 영문명
- Exploring the Formation of Multiple Overlapping Morality in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혜진(Lee, Hye-jin) 이경원(Lee, Gyeong-Won) 박영주(Park, Young-ju)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145~1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나타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다중 중첩의 도덕성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 중첩의 접근은 새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성원리가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3차원으로 정리되면서 도덕성 형성의 방안도 이에 적합하게 구현될 필요성으로 구안된 교수·학습의 절차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다중 중첩의 접근은 기존 인지, 정의, 행동적 영역의 단순한 통합을 넘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면서 여러 영역에 걸쳐 동시다발적으로 도덕성을 통합하여 가는 형식이다. 이에 구체적인 교수·학습의 절차를 4단계 다중 중첩 모델로 정립 가능성을 탐색하면서, 1차시 기본 학습의 도덕적 지식·이해 중심, 2, 3차시 탐구학습 1, 2의 도덕적 과정·기능 중심, 4차시 심화학습의 도덕적 가치·태도 중심으로 구조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4단계 다중 중첩 모델의 구체적인 수업 설계 적용성을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면서 그 타당성을 탐색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formation of multiple overlapping morality, focusing o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propose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The multi overlapping approach for moral forma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reated with the necessity of an appropriate method for moral formation as the content system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new curriculum is organized into three dimension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cess and function, and value and attitude. The multi overlapping approach goes beyond the simple integration of existing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It is a form where the learner participates actively during the class and integrates morality simultaneously across multiple domai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s as a four step multi overlapping model: the first session focuses on mo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basic learning, the second and third sessions focus on moral processes and functions of inquiry based learning 1 and 2, and the fourth session is structured around the moral values and attitudes of deep learning.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multi overlapping model by analyzing the specific class design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목차
Ⅰ. 서 론
Ⅱ. 도덕성 형성을 위한 통합적 노력
Ⅲ. 초등 도덕과 시안의 도덕성 형성의 다중 중첩성
Ⅳ.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 구체화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