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이용수 68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ITE Teacher Learning Model in Enhanci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강정진(Kang, Jungji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2권 제4호, 31~4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교사학습 모형을 개발ㆍ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48명과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ITE 교사학습 모형에서 제공한 다양한 학습경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TIE 교사학습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인의 인지적 학습, 실천적 경험학습, 성찰을 통한 전환적 학습을 주요 학습유형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가적인 문헌 분석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을 보강한 SITE 교사학습 모형을 최종 개발하였다. 둘째, SITE 교사학습 모형을 교육과정에 적용한 후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양적 분석 결과 이론-실습-토의-성찰의 구조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각 교사학습 유형에 따른 주제 필요성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질적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내용적 측면에 관심이 많았으며 이론 학습이나 수업시연과 같은 특정 영역 실습에 더 학습이 집중되기를 바랐다. 반면, 전문가들은 교사학습 모형의 구조적 측면을 많이 언급하였으며 교사학습이 직선적, 단편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랐다.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논의 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learning model that provides a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48 pre-service teachers and 10 experts, which focused on their perceptions about th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provided by the SITE teacher learning model. First, the TIE teacher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prior research analysis, and individual cognitive learning, practical experiential learning, and transformational learning were set as major learning types. Then, the foregoing model(SITE) that reinforced social interaction learning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expert opinions and additional literature analysis. Second, after integrating the SITE teacher learning model in the curriculum,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t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theory–practice– discussion–reflection structure was recognized as appropriate, and the need for topics related to each type of teacher learning was also emphasized. Third,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wanted to focus their learning more on the content aspect, particularly on specific practice such as theory learning and teaching practicum. On the other hand, the experts hoped that the structure of teacher learning could be provided convergence rather than linearly and fragmentary. In order to apply the SITE teacher learning model to augment the professionalism of the aforementioned teachers, some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수업 관련 현장 연구 내용 분석: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2012-2022) 발표 논문 중심으로
-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역할의 은유에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유형
- 인공지능 스피커의 활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변화
- 미국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개혁 방향에 관한 교사양성 지도자들의 견해: 표준과 표준화 사이에서
- 초등영어 예비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SITE 교사학습 모형 개발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극 단원 개발 연구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도덕성 형성에 대한 다중 중첩성 탐색
- 초등교원의 역할과 역량 변화 요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영어 발화 오류에 대한 AI 챗봇의 반응: AI 펭톡과 스피킹 클래스
-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 해외 유⋅보 및 유⋅초 연계의 방향과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음교육 시사점 탐색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구조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