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이용수 351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s Parental Involvement in Smartphone Usage Time: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전하람(Jeon, Haram) 이현주(Lee, Hyunju) 김가영(Kim, Ga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459~49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교육 참여가 보편화된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이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반영하여 자녀의 생활시간 관리 및 감독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사교육 참여여부가 청소년의 삶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교육 참여가 스마트폰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교육이 축소되고 사적영역이 확대된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 중1패널의 2차년도(2019년)와 3차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여부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간의 관계가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이후에 차이가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는 달리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에는 관련 독립변수를 고려한 후에 사교육 참여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사교육 참여 외 부모의 교육적 관여 변수는 2019년에 비해 2020년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사교육 참여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 간의 관계의 강건성 검증을 하였고, 두 변수 간의 관계 및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계의 변화가 실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같은 자녀의 삶에 있어서의 사교육 효과의 검증 필요성, 공교육의 축소에 따른 사교육 효과의 변화, 사교육으로 인한 교육불평등의 해소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ssuming that shadow education, as a tool of parental involvement, can play a role in managing and supervising adolescents’ tim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on adolescent smartphone usage time was analyz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smartphone usage time using data from the second and third years (2019-2020)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smartphone usage tim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smartphone usage time differed before and after the spread of COVID-19. Third, parental involvement variables other tha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showed a stronger effect on the decrease in smartphone usage time in 2020 than it did in 2019.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efulness of shadow education in time management and the effect of shadow education due to changes in public schooling are discussed,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