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이용수 432
- 영문명
- A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to International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and Local Adap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숙(Cheong, Yeun Sook) 박창언(Park, Changun) 강주현(Kang, Ju Hyu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173~21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vid-19 기간 중에도 매 학기 한국어를 가르치는 대학의 외국인 등록생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생활을 탐색해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의 지역 적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은 물론 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근거 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수업에서의 적응·부적응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 현상의 원인은,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모국에서 한국어능력시험과 문법 위주의 암기식 학습을 경험했고, 한국에서는 대학 입학을 위해 문어체 위주의 밀도 높은 수업을 짧은 시간 내에 이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수업 내용과 교실 밖 지역어의 차이로 학습 무력감을 경험했기 때문이었다. 한국어 수업 적응·부적응 결과는 첫째 사회 생활과 학업에 모두 적응하는 지역·학습 적응 성공형, 둘째 학업에는 적응하였으나 사회적으로 고립된 생활을 하는 지역·학습 고립 성공형, 셋째 학업과 사회적 생활에 모두 미숙함을 보이는 지역· 학습 부적응 미숙형으로 전개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수업에서의 적응은 지역 적응과 학습 성공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수업의 부적응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어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성을 고려한 주제와 과제로 한국어 수업을 구성해 보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Even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that teach Korean every semester has steadi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ves of foreign students and to discover the main factors to construct a plan to help them adapt to their local area.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reign students as well as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were in close contact with them.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mos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experienced Korean proficiency tests and grammar-oriented learning by rule memoriz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While in Korea, it is not only because they had to complete intensive classes centered on written langu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enter a university but also because they experienced a sense of helplessness due to differences in class content and the local language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to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first, a successful learning style in which students adapted to both social life and academic life; second, a learning style in which students successfully adapted to the school environment but which left them socially isolated; and third, a style in which the students showed immaturity in both academic and social life, which resulted in a failure in learning how to adapt to their localit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dapt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leads to local adaptation and learning succes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maladaptation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is study proposes to organize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topics and tasks considering locality.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