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이용수 1697
- 영문명
- Unraveling the Meanings of Student Agency in OECD Education 2030: Focusing on Critical Perspectives on Neoliberalism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희(Cho, Hyunhee) 홍원표(Hong, Won-Pyo)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215~2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agency)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윤리적, 철학적, 이념적 논의를 토대로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해야 할 학생 주도성의 의미와 실천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OECD가 제안한 학생 주도성 개념은 ‘주체성’과 ‘선택’, ‘책임’에 대한 비판적 입장들을 일부 인정하면서도 신자유주의의 관점과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젝트의 예비연구보고서와 직전보고서에서 논의된 주도성에 대한 풍부한 담론이 프로젝트의 최종 포지션페이퍼와 개념노트에서는 상당 부분 축소되고 단편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이념적 모순들이 얇은 수사학적 장치로 덮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이를 해석하고 적용한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주체성에 대한 학습, 선택에 대한 책임의 사회적 공유, 학생 주도성의 실천을 위한 평가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Drawing upon diverse ethical,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to human agency, this study sought to unravel the multiple meanings of student agency proposed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rough this effort, this paper suggests how student agency should be interpreted and connected to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ajor findings reveal that the concept of agency proposed by the OECD partially recognizes critical views on subjectivity, choice, and responsibility but mostly maintains a neoliberal perspective and ideas. In particular, the rich meanings of student agency discus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report and the next-to-final report were largely neglected in the project's final position paper and conceptual notes, and some contradictions derived from this process were thinly covered with rhetorical devic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relation to diverse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agency and the OECD'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목차
I. 서론
Ⅱ. 주도성 담론: 신자유주의와 이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
Ⅲ. OECD가 제시하는 학생 주도성의 의미
Ⅳ. 논의 및 제언: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