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434
- 영문명
-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National Differences i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심지혜(Sim, Ji-Hye) 김안나(Kim, Anna)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343~3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교육은 대중적인 공교육의 확산에 대응하여 세계적으로 팽창하고 있지만, 사교육의 제도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가 처한 교육, 경제,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라 사교육 활용에는 국가 간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보편적 현상으로서 사교육 수요의 원인을 밝히는 것은 사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국내의 과도한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사교육 활용의 세계적 동향과 국가적 차이, 그리고 국가적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TIMSS 자료 및 World Bank 자료를 활용하여, 38개국 8학년 학생 180,194명을 표본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가의 공교육 투자, 경제 수준, 학력중심 문화, 소득 불평등 등이 사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체 국가의 평균 사교육 참여율은 43.91%로 나타났고, 가난한 국가일수록, 고등교육 등록률이 낮을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할수록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활용 전략의 경우 국가의 공교육 투자가 높을수록, 부유한 국가일수록 사교육을 보충전략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며, 고등교육 등록률이 높은 국가일수록 사교육을 강화전략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교육 연구 및 정책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mass public schooling, shadow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worldwide. Since shadow education is affected by a country's education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in different countries. With the need for a cross-national study, this paper aims to reveal global trends and national differences in shadow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from the 2019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act of national factors such as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economic level, credentialism, and income inequality o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was determined. Specifically, the lower the GDP per capita, the lowe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enrollment rate, and the higher the income inequali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In regard to shadow education utilization strategies, the higher the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and GDP per capita, the higher the tendency to use shadow education as a remedial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enrollment rates, the higher the tendency to use shadow education as a enrichment strateg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