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이용수 197
- 영문명
- Nonlinear Impact of Student and Teacher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Math Scor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연(Park, Hyeyeon) 김현철(Kim, Hyunchul)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309~34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비모수 추정기법인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 MARS)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수학과목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수와 교사변수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변수들의 비선형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는 TIMSS 2015의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방법의 선택을 위하여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 모형, 다중회귀모형, 주성분회귀모형, 부분최소제곱모형, 정규화회귀모형이 비교되었다. 비교에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다. 비교된 모형들 중에서 예측성능이 가장 우수한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 모형에 의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에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던 변수들의 수준이 일정 값을 넘어서면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사라지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곡점(inflection point)은 변수에 따라 한 개에서 세 개까지 다양하였다. 이 연구는 MARS기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지 않은 독립변수들을 탐색하고,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새로 탐색된 변수들과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변수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비선형적 영향력과 영향력이 변화되는 변곡점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 (MARS) model was applied to explore the student variables and teacher variables that affect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data regarding second-yea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sed the MARS technique to explore independent variables not reporte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previous studies, and unlike previous studies, it was meaningful to confirm the nonlinear influence and inflection points of newly searched variables and variabl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inflection points varied from one to three depending on the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measure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