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525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배선희(Bae Seon hui) 손은령(Son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3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에 개인요인, 부모요인, 학교요인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7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요인으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동기, 진로태도(결정성), 진로태도(준비성)이 진로장벽 지각에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모요인은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모-진로관련행동(간섭), 모-진로관련행동(관여부족)이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학교요인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있거나 많을수록 진로장벽 높게 지각하였다.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는 긍정적일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 차이에 대한 확인을 통해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을 낮추기 위한 진로 개입에는 다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진로교육과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factors, parental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this e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seventh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MAP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individual facto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and career attitude (prepar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barrier perception. Second, the parental fact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parenting attitudes (neglect), maternal career-related behaviors (interference), and maternal career-related behaviors (lack of involvement). Third, the school factor is the experience of bullying. The relationships with school peers and with teac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a) whether the student experienced group harassment and (b)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group harassment, the higher the perception was of career barriers. The more positive the relationship with school pe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the lower the perception was of career barriers. This study suggests that career education and programs considering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for career intervention in order to lower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Ⅲ.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